•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산업부, 2600억 투입 첨단산업 이끌 석·박사 2000명 양성한다

등록 2024.05.19 11:00:00수정 2024.05.19 11:10: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특성화대학원·교육훈련·해외연계 등

[서울=뉴시스] 안덕근(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1일 경기 SK하이닉스 이천사업장을 방문해 반도체 생산라인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2024.01.1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안덕근(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1일 경기 SK하이닉스 이천사업장을 방문해 반도체 생산라인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2024.01.11.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여동준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가 국내 첨단 및 주력 산업을 이끌 석·박사 2000명을 양성하기 위해 2468억원을 투입한다.

산업부는 19일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석·박사 인재를 양성하는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에 올해 참여할 대학 40곳과 기업 14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 신규과제는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 산업계 수요기반 석·박사 전공과정, 글로벌 연구자 양성을 위한 해외협업 연구지원 등으로 구성됐다.

산업부는 신규과제에 향후 2468억원을 투입하고, 이를 통해 국내 산업계를 이끌 석·박사 인재 2000명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학과를 신설해 석·박사 인재를 양성하는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은 반도체·배터리 각 3개 학교, 디스플레이·바이오 각 1개 학교를 신규 선정했다.

경북대, 포항공대, 성균관대, 연세대, 한양대 등은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으로 선정됐고, 각 대학은 연간 30억원을 지원받아 향후 5년 간 석·박사 920여명을 양성한다.

로봇·미래차·인공지능·섬유 등 첨단 및 주력 산업 분야 석·박사 전공과정을 지원하는 교육훈련사업은 산업계 수요를 기반으로 기획된 13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대학 및 산업계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각 컨소시엄은 연간 평균 15억원을 지원받아 기업과 연계된 산학프로젝트,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교육프로그램 등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향후 5년간 약 750명 내외의 인재를 배출할 예정이다.

또 국제 연구 수행경험을 지원하는 해외연계사업에는 서울대, 고려대, 인하대 등 11개 대학이 선정됐다. 이들은 평균 23억원 내외를 지원받아 향후 3년간 약 330명 인재와 MIT·스탠포드대 등 해외 우수연구기관과 공동 연구·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