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러시아 "대사관 통해 北 접촉중···긴장 너무 고조 北 진정에 며칠 걸려"

등록 2017.08.10 04:09:3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 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대통령이 러시아내 미국 외교공관 직원 755명의 감축명령을 내린 뒤 30일(현지시간) 상트 페테르부르크에서 거행된 해군의 날 행사에 참가했다. 그는 이번 조치가 미 의회의 러시아 제재안 통과에 대한 보복이라고 밝혔다. 2017.07.31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 AP/뉴시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대통령이 러시아내 미국 외교공관 직원 755명의 감축명령을 내린 뒤 30일(현지시간) 상트 페테르부르크에서 거행된 해군의 날 행사에 참가했다.  그는 이번 조치가 미 의회의 러시아 제재안 통과에 대한 보복이라고 밝혔다. 2017.07.31  

  러시아 "美 침착하게 北 자극할 위험한 행동 자제해야"
  스위스 제네바 군축회의서도 北 도발 비공개 논의

 【서울=뉴시스】 이현미 기자 = 러시아는 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AP통신에 따르면 바실리 네벤지아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는 이날 기자들에게 "우리의 강한 소망은 미국이 침착하게 북한을 자극할 수 있는 위험한 행동을 자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괌 공격 위협에 '화염과 분노' 발언으로 강경 대응한 데 대한 반응인 셈이다.

 그는 러시아는 "대화를 촉진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준비가 되어 있고, 우리 대사관을 통해 북한 당국과 접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긴장이 너무 고조돼 있다"면서 "희망적으로 (상황을) 진정시키기 위해서는 며칠을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은 핵 및 미사일 활동을 중단하고 미국과 한국은 군사훈련을 중단해야 한다는 중국의 입장을 지지한다면서, 그 제안이야말로 현 상황을 "돌파하는 길"이라고 밝혔다.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면서 스위스 제네바에서는 비공개 군축회의(CD)가 열렸다고 AP는 전하기도 했다.

 로버트 우드 제네바 주재 미 대사는 이날 트위터에 북한은 "위협적인 행동을 끝내야 한다"는 글을 올리면서 북한의 도발은 "CD 비공개 회의에서도 논의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요구에 응할 것을 촉구했다.  

 제네바 군축회의는 국제사회에서 유일한 다자 군축 협상 기구로, 스위스 제네바에 있다. 65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1978년 제1차 유엔 군축 특별총회의 결정에 따라서 군축위원회(Committee on Disarmament)라는 명칭으로 1979년 설립됐다. 이는 1960년 설립된 10개국 군축위원회(Ten Nations Disarmament Commission)를 발전적으로 계승한 것이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