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日銀 위원 한명 빼고 "추가양적완화 반대"…아베노믹스 걸림돌 되나

등록 2017.11.09 12:52:0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워싱턴=AP/뉴시스】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가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주요 30개국(G30)국제금융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7.10.16

【워싱턴=AP/뉴시스】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가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주요 30개국(G30)국제금융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7.10.16

【도쿄=뉴시스】 조윤영 특파원 = 지난달 말에 열렸던 일본은행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금융 양적완화의 추가 실시에 대해 참석한 위원 중 한 명을 제외하고 모두 반대했다고 9일 NHK가 보도했다. 이에 일본은행은 올해와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을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추가 양적완화를 결정하지 않았다.

 이 회의에 참석한 9명의 정책위원들의 의견이 9일 공표되면서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한 위원이 물가 2% 상승을 조기 달성하기 위해서는 양적 완화를 더 강화해야한다고 주장하자, 나머지 위원들이 "추가 양적 완화는 시장과 금융기관에 끼치는 영향이 너무 크고 정책의 지속성 면에서도 플러스보다는 마이너스가 더 많다"며 반대했다. "정책 변경의 효과에 확신이 들지 않는다면 그대로 유지하는게 맞다"는 의견도 많이 나왔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이끄는 자민당은 지난 중의원 선거에서 아베노믹스를 핵심공약 중 하나로 내세우며 고용률 상승, 주가시장의 상승 릴레이 등 눈에 보이는 결과를 바탕으로 아베노믹스의 성과를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이 전략이 먹히며 자민당이 선거에서 압승을 거둔만큼 향후 아베정권은 아베노믹스의 깃발을 더 높이 세울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아베노믹스의 핵심인 양적완화의 추가 실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평가가 속출하면서 결국 성사되지 않은만큼 이것이 향후 아베노믹스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최근 긴축 기조 전환을 공식화한 미국이나 완만한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을 선언한 유로존과 달리 일본은 여전히 공격적인 양적완화에 무게를 두고 있다.

  '양적완화'를 전두지휘해온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총재는 지난달 15일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차 방문한 워싱턴에서 "(물가상승률) 2% 목표 달성은 아직 멀었다"며 "가능한 빨리 물가안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