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WSJ "美, 첨단 기업에서 중국인 고용 허가 늦춰"

등록 2019.05.22 05:31:4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부에노스아이레스=신화/뉴시스】지난해 12월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만찬 회동에서 악수하고 있다. 2019.05.22.

【부에노스아이레스=신화/뉴시스】지난해 12월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만찬 회동에서 악수하고 있다. 2019.05.22.


【서울=뉴시스】남빛나라 기자 = 미국 정부가 자국 반도체 기업의 중국인 고용에 대한 허가를 늦추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중 무역갈등이 화웨이를 둘러싼 첨단 기술 전쟁으로 번진 가운데 중국으로의 기술 유출을 둘러싼 경계심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빌려 이같이 보도했다. 미국의 첨단 기술 기업은 외국인을 고용하려면 상무부를 포함한 정부 부처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일반 취업비자와는 별도다.


상무부에 따르면 2013~2017년 고용허가를 받은 외국인 중 60% 이상이 중국인이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미 정부가 중국인 기술자에 대한 고용 허가를 지연해 인텔, 퀄컴 등의 일자리 수백개가 타격을 받았다. 허가에는 통상 몇 주가 소요됐지만 최근 들어 6~8달이 걸리는 경우도 잦다고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는 말했다. 

이같은 양상은 기술 문제에 있어서 미국이 직면한 난제를 보여준다고 WSJ는 전했다. 미국의 경쟁력을 보호하기 위한 결정이 또 다른 방향에서는 경쟁력을 떨어트리고 있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인 고용이 완전히 막힌 건 아니지만 고용 허가가 늦어지면서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지원자를 잃게 됐다고 지적했다.

앞서 미중이 관세폭탄을 주고받던 중 미 상무부는 화웨이와 계열사를 거래제한 기업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화웨이는 미 기업과 거래하려면 미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인텔, 퀄컴, 구글 등 미 기업들은 정부의 이같은 조치가 나온 뒤 화웨이와의 거래를 중단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