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재명 사법리스크 본격화…민주, 李 거취 논의 점화할까

등록 2022.11.22 17:34:16수정 2022.11.22 18:11: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이 대표 최측근 잇단 구속에 李 직접 해명·유감 촉구

친이낙연계, 방미 등 행보에 이낙연 조기 복귀설도

설훈 "이 전 대표 최소 3월 이후 올 것" 선긋기 나서

일각선 "이낙연 복귀 시 민주당 분당 가능성" 전망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공임대주택 예산삭감 저지를 위한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11.22.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공임대주택 예산삭감 저지를 위한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11.2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임종명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법리스크에 대한 당내 불만이 표출되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당 일각에서는 이 대표 최측근 인사의 잇단 구속에 이 대표의 직접 설명과 해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대표의 리더십이 위기에 직면할 조짐인 데다 친이낙연계와 친문재인계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이 대표에 대한 검찰의 소환 조사 등이 이뤄질 경우 당 내에서 이 대표 거취 논의가 이뤄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검찰의 전방위적 수사 압박이 이어지면서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 정진상 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이 기소, 구속되는 등 민주당내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자 비명계로 분류되는 박용진, 조응천 의원 등은 이 대표의 유감 표명, 부정부패 관련 당직자에 대한 당헌 80조 적용 등을 언급했다.

조 의원은 이 대표를 향해 "지금 검찰이 이 대표를 직접 겨냥해 (2명을 기소했다고) 감안하더라도, 저희가 대장동과 제기되는 여러 사안의 진상을 명명백백히 모른다"며 "직접 해명할 때가 됐고, 최소한의 유감 표시 정도의 정치적 제스처는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김 부원장과 정 실장이 유죄인지 무죄인지 알 수 없지만 당이 이 일과 관련해 정치적으로 타격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당직자가 부정부패로 기소될 경우 해당 당직자의 직무를 기소와 동시에 정지하는 당헌 80조 적용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해영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페이스북에 "지금 민주당에는 손실을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한 때"라며 "손익(損益)의 갈림길에서 눈 앞에 손(損)으로 보이는 상황도 대처하기에 따라 얼마든지 익(益)으로 변할 수 있다. 솥(鼎)이 뒤집어졌으면 솥 안의 막힌 것들을 비워내고 새롭게 채워야 한다"고 적었다.

김 전 의원은 지난달 김 부원장이 불법 대선자금 수수 혐의로 구속됐을 때 이 대표를 겨냥 "이제 역사의 무대에서 내려와 달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러한 목소리가 드러나자 지난 6월 유학길에 올라 미국에 머물고 있는 이낙연 전 대표가 언론 보도에 이름을 올렸다. 이재명 대표 리더십이 시험대에 오른 상황이라는 분석과 이에 따라 이 전 대표의 조기 복귀 가능성을 언급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낙연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인하며 이 전 대표의 조기 복귀에 대해 논할 상황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설훈 의원은 이 전 대표가 최소 3월 이후, 그때가 지나야 올 것이라고 전했다.

나아가 더불어민주당의 분당 가능성도 거론됐다.

김형준 명지대 특임교수는 22일 조선일보 유튜브에 출연해 "이 대표 사법리스크가 피해 나가기 힘든 상황으로 가고 있다. 이 대표의 오른팔, 왼팔이 모두 구속되고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에 이어 남욱 변호사까지 이 대표를 대장동 몸통으로 지목하는데 버틸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이어 "침묵을 지키고 있던 친문과 비명계 의원들이 이 대표에게 해명하라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새로운 관련자 진술과 증거가 나오면 이 대표를 손절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본격적으로 나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지금 미국에 있는 이낙연 전 대표가 귀국하고, 이재명 대표 손절 기류가 본격화하면 민주당은 분당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다만 이는 검찰이 이 대표 측을 먼저 수사하고 문재인 정권에 대한 수사를 나중에 하는, 단계적 절차를 밟을 경우라고 했고, 동시에 수사에 들어갈 경우 두 세력이 방탄을 위해 뭉칠 것이기 때문에 분당 사태는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