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중국, 한국 외교부 메일 해킹 정황…"실질적 피해 없어"

등록 2023.11.09 14:38:04수정 2023.11.09 15:47:3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대부분 개인이 차단한 스팸메일

"특정 국가 해킹 판단은 어려워"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이 5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현안 관련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이날 임수석 대변인은 러시아 북방상이 북한과의 연합훈련 가능성 제기와 관련해 "북한과의 무기 거래와 관련 협력은 안보리 결의 위반이고 이러한 연합훈련 시 관련된 안보리 결의 위반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 이라고 밝혔다. 2023.09.05. kmx1105@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이 5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현안 관련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이날 임수석 대변인은 러시아 북방상이 북한과의 연합훈련 가능성 제기와 관련해 "북한과의 무기 거래와 관련 협력은 안보리 결의 위반이고 이러한 연합훈련 시 관련된 안보리 결의 위반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 이라고 밝혔다. 2023.09.0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최서진 기자 = 지난해 1월 우리 외교부 이메일이 해킹당해 4GB(기가바이트)가 넘는 이메일이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9일 정례브리핑에서 "지난해 1월 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해킹 공격으로 외교부 이메일에 스팸메일 차단 시스템에 저장되었던 일부 자료와 파일이 외부에 유출된 바 있다"고 밝혔다.

다만 유출된 자료에 외교상 비밀은 포함되어 있지 않고, 대부분 개인 이메일상 차단된 스팸메일이어서 실질적인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임 대변인은 "외교부는 정보시스템에 대한 특별 보안 점검을 실시했고 네트워크를 재구성하여 재발 방지 조치를 취한 바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해킹 주체가 중국 국가안전부(MSS)라는 보도와 관련해선 "보통 해커는 다수의 중간 경유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최종 경유지 IP를 근거로 해서 특정 국가에서 해킹을 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외교부는 국경 없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국가에 대한 구분 없이 사이버 침해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