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안 풀리는 이낙연…임종석 민주 잔류·호남 민심 '냉랭'

등록 2024.03.05 07:00:00수정 2024.03.05 10:08:0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임종석 "당 결정 수용" 잔류…이낙연 "직진하겠다"

반명 규합 차질…설훈·홍영표 '민주연대' 통합 주력

이낙연 광주 출마 승부수…지지율 끌어올리기 숙제

새미래 "출마 지역구 정해지면 민심 변화 있을것"

[광주=뉴시스] 이낙연 새로운미래 공동대표가 4일 오후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광주 출마의 뜻을 밝히고 있다. 2024.03.0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 이낙연 새로운미래 공동대표가 4일 오후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광주 출마의 뜻을 밝히고 있다. 2024.03.0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종희 기자 = 세 확장에 사활을 걸었던 이낙연 새로운미래 공동대표의 총선 구상에 제동이 걸렸다.

영입에 기대를 걸었던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더불어민주당 잔류를 택한 데다, 고심 끝에 출마 선언을 했지만 호남 지역 지지율 마저 한자릿 수에 묶여 있는 답답한 상황이다. 이 대표는 민주당을 탈당한 설훈·홍영표 의원이 주도하는 민주연대와 통합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공동대표는 4일 광주 서구에 위치한 광주시의회를 찾아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 출마를 공식화했다.

그는 "국회의원 선거를 광주에서 출마해 치르기로 결심했다. 광주·전남 시도민이 저에 대해 많이 아쉽고 서운해 하신다는 것을 잘 안다. 제가 부족한 탓"이라며 "부디 어머니 같은 고향의 마음으로 받아 주시기 바란다"고 고개를 숙였다.

당초 이 대표는 3일 출마를 선언하려했으나 임 전실장의 민주당 이탈 가능성을 높게 보고 기자회견을 연기했다.  임 전 실장의 새미래 합류에 큰 기대를 걸었다는 방증이다.

임 전 실장이 새미래에 합류한다면 '민주당 정신 회복'을 기치로 반명 세력이 모여 총선 구도에 상당한 파괴력을 발휘할 수 있어서다. 홍영표·설훈 의원이 주도하는 민주연대도 비명계 현역들과 세규합에 나선 상황이어서 이들이 한데 뭉친다면 민주당 분당이 현실화 될 거라는 전망도 나왔다.

그러나 임 전 실장은 정계의 이런 관측과는 다른 선택을 했다. 페이스북을 통해 "당의 결정을 수용한다"며 사실상 민주당 잔류를 결정, 민주당은 파국을 면한 반면 새미래에는 먹구름이 끼는 형국이다. 정치권에선 이 대표에 대해 '닭 쫓다 지붕 쳐다 보는 격'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새미래 측은 임 전 실장의 결정에 아쉬움을 숨기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석현 전 국회부의장은 전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임 전 실장이 전날(3일) 저녁 7시까지만 해도 새미래 합류를 전제로 민주당 탈당을 이 전 대표에게 약속했다"며 "그런데 아침에 저화를 안받고 페이스북에 민주당 잔류 의사를 밝혔다. 밤 사이에 입장이 바뀐 것 같다"고 했다.

이 대표는 임 전 실장의 민주당 잔류에 대해 "그동안 민주 세력의 확산을 위해 양보할 건 양보하면서 길을 넓히려 많이 노력했지만 이젠 더 이상 좌고우면할 수 없다. 직진하겠다"고 했다.

이 대표로서는 설훈·홍영표 의원이 주도하는 민주연대와 통합으로 방향타를 돌릴 것으로 보인다.

광주 출마 선언 후 민심이 새미래로 향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도 읽힌다. 현재 상황은 녹록치 않지만 출마 지역구를 확정하고 본격 유세전에 들어가면 바람몰이가 충분히 가능하다 보고 있다.

이 공동대표의 광주 출마는 새미래의 호남 확장 가능성을 평가하는 가늠자이자, 이 대표에게는 자신과 당의 미래를 건 정치적 승부수인 만큼 유세에 사활을 걸 것으로 보인다.

출마 지역은 양향자 개혁신당 원내대표의 지역구인 광주 서을이나 친명계 민형배 의원 지역구인 광주 광산을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새로운미래 관계자는 "지도부 차원에서 좀 더 전략적인 논의를 거쳐 이 공동대표의 지역구를 확정하기로 했다"며 "지역구가 확정되면 호남 민심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