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종합]삼성전자, 지주회사 전환 안한다

등록 2017.04.27 09:19: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이영환 기자 = 삼성그룹 창립 79주년인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깃발이 펄럭이고 있다.  삼성그룹 전 계열사 모두 79주년 기념식이나 임직원 포상 등 별도의 행사를 갖지 않고 정상근무한다. 2017.03.22.  20hwan@newsis.com

외부전문가와 검토결과 지주사 전환 안하기로 결론
"지주회사 전환 추진 사업경쟁력 강화 효과 미미"
경영 역량 분산시키는 등 사업에 부담 우려도 영향  

【서울=뉴시스】이연춘 기자 = 삼성전자는 27일 이사회를 열고 지주회사로 전환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삼성전자는 지주회사로 전환할 경우 전반적으로는 사업경쟁력 강화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경영 역량의 분산 등 사업에 부담을 줄 우려가 있다고 판단,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지주회사 전환 과정에서 수반되는 여러 문제들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우선, 지주회사 전환 과정에서 삼성전자와 계열회사의 보유 지분 정리 등이 필요한데, 계열회사의 보유 지분 정리는 각 회사의 이사회와 주주들의 동의가 필수적이라 삼성전자가 단독으로 추진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 금산법과 보험업법이 규정한 바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지주회사와 사업회사로 분할할 경우 현재 금융 계열회사가 보유 중인 삼성전자 지분 일부 또는 전량 매각이 필요할 수도 있어 삼성전자 주가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서울=뉴시스】이영환 기자 = 삼성그룹 창립 79주년인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로비에 직원들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  삼성그룹 전 계열사 모두 79주년 기념식이나 임직원 포상 등 별도의 행사를 갖지 않고 정상근무한다. 2017.03.22.  20hwan@newsis.com

 최근 지주회사 전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건의 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분석됐다.

 회사가 사업 구조적 측면의 경쟁력을 갖춘 상황에서 지주회사로의 전환은 추가적인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바가 별로 없다는 게 삼성전자의 입장이다. 삼성전자는 그 동안 지주회사 전환에 부정적인 입장이었다는 것.

 다만 투자자들의 요청에 따라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주주가치 제고 방안'에서 발표한 바와 같이 중립적인 입장에서 외부전문가들과 전략, 운영, 재무, 법률, 세제, 회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주회사 전환 여부를 검토해 왔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지주회사 전환이 어려운 제반 여건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구조 대비 뚜렷한 개선 요인이 없어 주주 가치와 회사 성장에 모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사업구조는 스마트폰, TV 등 세트 사업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부품 사업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며 "이를 통해 경기가 하락해도 실적 변동성을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기술과 설비에 대한 과감한 선제 투자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

 이어 "고수익 사업에서 창출되는 수익을 미래 신성장 동력 발굴에 활용하는 등 선순환적 사업 구조가 지속 성장의 기반이 되고 있다"며 "이는 다른 글로벌 IT기업이 가지지 못한 삼성전자의 강력한 장점이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