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서울 50+정책', OECD 공공부문 혁신사례로 선정

등록 2017.09.28 11:15: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 50+정책', OECD 공공부문 혁신사례로 선정

【서울=뉴시스】박대로 기자 = 서울시는 50~64세 대상 '50+정책'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선정하는 공공부문 우수혁신 사례로 채택됐다고 28일 밝혔다.

 OECD는 전 세계 지방정부가 어떻게 혁신을 통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공익가치를 생산하는지 연구하고 있는데 이번에 서울시 50+정책이 6개 공공혁신 우수사례 중 하나로 선정됐다.

 6개 혁신사례는 서울시의 50+정책 외에 캐나다 토론토·밴쿠버의 시민추천패널(Citizen Reference Panel), 미국 보스턴의 신도시정비(New Urban Mechanics), 벨기에 안트베르펜의 도시의 구성(City of Things),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순환경제(Circular Economy), 스웨덴 예테보리의 지역혁신협력(Innovation Collaboration) 등이다.

 서울시 50+정책은 고령사회를 대비한 사회 경제적 준비, 50+당사자를 비롯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조율 과정을 통한 정책 개발과 이행과정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지난달 29일에는 OECD 관계자들이 서울시50플러스재단과 캠퍼스를 방문해 서울시·재단 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했다. 50+캠퍼스에서 활동하는 50+당사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서울시 50+세대 실태와 퇴직 후 사회활동 현황을 들었다.

'서울 50+정책', OECD 공공부문 혁신사례로 선정

서울시 50+정책이 소개된 'OECD 공공부문 혁신사례집'은 11월 공공부문 혁신 사례들을 논의하는 OECD 컨퍼런스 '정부의 혁신: 새로운 평범함(프랑스 파리 11월20~21일)'에서 배포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서울시민의 21.9%(219만명)를 차지하는 50~64세를 위해 지난해 지자체 최초로 '50+종합지원정책'을 발표하고 50+세대만을 위한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4월에는 50+정책을 주관하는 서울시50플러스재단을 설립했다. 현재 50+세대 전용 시설인 50플러스캠퍼스를 은평구(서부캠퍼스)와 마포구(중부캠퍼스) 2곳에서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 이경희 대표는 "50+정책이 서울시뿐만이 아니고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