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충북 균형발전사업 제자리…6개 시·군 역성장 여전

등록 2018.06.26 16:14: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청주=뉴시스】천영준 기자 = 충북 청주 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 공장지역 조감도. 2018.3.26.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청주=뉴시스】천영준 기자 = 충북 청주 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 공장지역 조감도. 2018.3.26. (사진=뉴시스 DB) [email protected]

【청주=뉴시스】이병찬 기자 = 2006년부터 추진해 온 충북도의 지역균형발전사업이 제자리 걸음을 반복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26일 충북연구원의 '균형발전계획 수립 세미나'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도내 11개 시·군 지역발전도 측정에서 제천 등 6개 시·군이 마이너스(-) 점수를 받았다.

 단양군이 -1.24로 가장 낮았으며 괴산군(-1.13)과 보은군(-0.91)이 그 뒤를 이었다. 시(市) 단위에서는 제천시만 -0.08을 기록했다.

 플러스(+) 평가를 받은 지역은 청주시, 충주시, 음성군, 진천군, 증평군이었다.

 지역발전도 측정 지표는 GRDP(지역내총생산), 재정력 지수, 인구증가율, 노령화지수, 도시적 토지이용률, 지가상승률, 지역주민 1000명당 병상 수 등이다. 플러스는 성장을, 마이너스는 역성장을 의미한다.

 2006~2016년 1~2단계 지역균형발전 사업을 추진한 도는 제천, 보은, 옥천, 영동, 증평, 괴산, 단양 등 7개 시·군에 총 3750억원의 예산을 쏟아부었다. 이어 지난해부터 2021년까지 또 3736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그러나 10년 동안 추진한 1~2단계 사업이 종료한 이후 지역발전도가 성장(+)으로 돌아선 지역은 증평군 단 한 곳뿐이다.

 도는 2017~2021년 3단계 지역균형발전사업에서 단양과 괴산을 A그룹에, 보은과 영동을 B그룹에, 옥천과 제천을 D그룹에 편제했다. 성장세로 돌아선 증평군은 D그룹으로 분류해 가장 적은 예산을 배정하기로 했다.

 주요 사업은 자동차와 바이오(제천), 유기농 생태도시 조성(괴산), 교육문화와 스포츠산업(증평), 복합테마관광 기반 구축(영동), 체류형 관광지 조성(단양), 친환경 휴양산업(보은), 의료기기밸리 구축(옥천) 등이다.

 충북도의회 윤홍창(제천1) 의원은 지난해 도정질문에서 "충북도의 시·군 개발정책 추진이 서쪽으로 치우쳐 있다"면서 "균형발전정책의 지역 범주를 서부권과 동부권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에 따르면 청주, 진천, 음성, 충주, 증평 등 도내 서부 지역 시·군의 경제 규모는 날로 커지고 있으나 제천, 단양, 괴산, 보은, 영동 등 동부 지역은 인구 감소와 저발전에 신음하고 있다.

 서부권 시·군의 인구는 지난 10년 동안 123만여명에서 130만명으로 늘었으나 동부권 시·군은 29만여명에서 28만여명으로 감소했다. 충북 지역내총생산(GRDP)도 동부권이 80% 이상의 압도적인 비율을 점유하고 있다.

 윤 의원은 "도는 낙후지역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지만, 지난 10년 동안 동부권과 서부권의 지역개발과 경제 규모 격차는 더 커졌다"면서 "북부권, 중부권, 남부권으로 분류한 도의 균형발전 패러다임을 동·서부권으로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