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남도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효과 톡톡

등록 2023.09.03 09:46:45수정 2023.09.03 12:12:0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020~2022년 3791명 신규 일자리 창출 등

올해 고용창출 목표 1291명… 7월 기준 413명

경남도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효과 톡톡


[창원=뉴시스] 홍정명 기자 = 경남도는 2020년부터 창원, 김해, 사천시와 함께 추진하고 있는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이 3791명 신규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된 거제시 이외 고용위기가 우려되는 창원, 김해, 사천시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기계·자동차·항공산업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인력양성 훈련 2391명, 기업 지원 324개사, 고용서비스 지원 4203명, 채용장려금 988명, 고용창출 3791명 등 성과를 거두었으며, 고용노동부 주관 사업 운영 평가에서 2021년부터 2년 연속 최고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올해는 7월 말 기준으로 인력양성 훈련 354명, 기업 지원 42개사, 고용서비스 지원 1493명, 채용장려금 193명, 고용창출 413명 등 효과가 있었으며, 연말까지 1291명의 고용 창출을 계획하고 있다.

최근 경남경제 상황은 주력산업인 자동차, 조선, 항공, 방산 분야 강세로 무역수지는 10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하고 있고, 고용률, 실업률 등 고용지표도 양호해 전체적으로 좋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반면, 주력산업을 포함한 제조업 현장 인력난이 여전해 빈 일자리를 채우는 지원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올해부터는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실효성을 위해 지원을 강화했다.

위기산업 퇴직자를 정규직으로 채용한 기업체에 지급하는 채용장려금 외에 위기산업 근로자의 장기근속을 유도하기 위해 근로자에게 직접 지급하는 취업성공금을 도입해 사업의 효과를 높였다.

사업 대상도 기존의 기계·자동차·항공산업에서 연관성이 높은 금속가공제품 제조업을 추가해 산업 범위를 확대했다.

또한 경남도는 인력양성 교육 과정 참여자와 일반 구직자의 취업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방법도 지원하고 있다.

한 예로 지난 6월 경남고용안정선제대응지원센터는 인력양성 교육생, 구직자 41명과 함께 경남지역 우수기업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특히, 김해 진례 A 항공기부품 제조기업에서는 제조 공정 안내와 현장 견학 이후 인사 담당자와의 질의응답 시간을 갖고, 41명이 현장에서 면접을 진행해 11명 채용이 확정되고, 4명이 추가 면접 기회를 얻는 성과를 얻기도 했다.

센터는 행사에 참여한 구직자뿐만 아니라 기업 호응도가 높아 경남의 다른 우수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추가로 진행할 계획이다.

경남도는 또, 지난 3년간 사업 참여자를 추적 관리하는 사후 이력관리 시스템을 운영 중이며, 올해 미취업자와 리턴구직자 1000명에게 취업정보 5420건을 지속해서 제공해 243명이 재취업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김상원 경제인력과장은 "지난 2020년부터 추진해 온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이 최근 좋아진 경남 경제상황에 일조를 했다고 생각한다"면서 "고용 상황은 좋아졌지만 상대적으로 주력산업을 포함한 제조업의 인력난은 심화되어  빈 일자리를 채우기 위해 산업인력 지원, 좋은 일자리 창출, 금융 지원 등 여러 정책을 다각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은 고용서비스 지원, 채용장려금 지급 등을 담당하는 경남고용안정선제대응지원센터와 재직자 및 미취업자의 숙련 향상, 노동 전환을 돕는 11개 인력양성 교육 과정, 경영컨설팅 등 4개 기업지원 과정을 추진하는 10개 수행기관이 각자 맡은 바 사업을 추진 중이이다.

자세한 내용은 경남고용안정지원단 누리집(www.gne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