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남소방, 빅데이터 활용 위험지 개선 "사고예방 효과 톡톡"

등록 2024.01.28 12:01:4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관계기관과 협력해

41개소 환경 개선 후

출동 47%, 사상자 52% 감소

[거창=뉴시스] 경남 거창 사고 위험지역 환경개선사업으로 단속카메라 설치 전(왼쪽)과 후 모습.(사진=경남도 제공) 2024.01.28. photo@newsis.com

[거창=뉴시스] 경남 거창 사고 위험지역 환경개선사업으로 단속카메라 설치 전(왼쪽)과 후 모습.(사진=경남도 제공) 2024.01.28. [email protected]

[창원=뉴시스] 홍정명 기자 = 경상남도 소방본부의 '빅데이터 활용 위험지역 환경개선 사업'이 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소방본부는 지난 2021년부터 대규모 재난과 사고에 대비하고 도민 생활과 밀접한 안전사고 저감을 위해 지자체, 경찰서, 국립공원공단, 한국도로공사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도내 사고 위험지역을 발굴하고 개선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2021년도 22개소, 2022년도 19개소 등 위험지역 41개소에 대한 환경을 개선했다.

사고위험 개선지역을 유형별로 보면, ▲과속 및 신호위반 단속카메라 설치, 무단횡단 방지 펜스, 중앙분리대 설치, 노면 미끄럼 방지시설 설치 등 교통사고 지역 35개소 ▲물놀이 위험지역 안전요원 배치, 출입금지, 수난사고 안전시설물 설치 등 수난사고 지역 3개소 ▲등산로 추락방지를 위한 난관 설치, 위험 등산로 폐쇄조치 등 산악사고 지역 3개소다

이들 41개소 사고 위험지역에서는 연평균 사고 건수 80.8건에 사망 5.1명 사망, 부상 66.7명 등 인명피해가 있었다.

그러나 환경개선 후에는 연평균 사고 건수 42.5건에 사망은 없고, 부상 34.5명으로 사상자는 52% 감소했다. 출동 건수는 47%(38.3건) 감소했다.

주요 감소 요인은 소방 빅데이터 기반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공간분석을 통한 위험지역 발굴 및 개선사업 시행으로 도로 및 등산로 환경개선 등 사고유발 요인 제거, 단속카메라 설치 및 안내표지판 등 안전시설물 보강, 위험지역 경각심 고취를 위한 홍보 등으로 도민의 안전의식이 높아져 출동, 사망, 부상 등 사고 발생빈도가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소방은 지난 2023년에도 사고 위험지역 22개소를 발굴해 환경개선 공사를 마쳤다.

박길상 방호구조과장은 "도민의 삶과 밀접한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사고 위험지역 발굴·개선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