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과기부, '정보보호 분야' 8500억 예산 목표 달성에 총력

등록 2019.12.18 17:25:5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내년도 정보보호 예산, 평균 증가율보다 낮은 2.4% 증가

"추경으로 올해 예산에 미리 반영돼 증가율 낮아져"

"융합보안, 해킹 대응체계 고도화 예산 신설 등 노력"

과기부, '정보보호 분야' 8500억 예산 목표 달성에 총력

[서울=뉴시스] 이재은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정보보호 강화를 위한 예산확보에 총력을 다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지난 1월 '민간 정보보호 종합 계획'을 발표하며  민간부문의 정보보호를 위해 2022년까지 약 8500억 원의 예산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 내년도 정보보호 예산이 전년대비 2.4%증가한 1810억원으로, 2017년 이후 평균 3% 증가율 한 것에 비하면 낮은 수치여서 목표 예산인 8500억원을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제가됐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정보보호예산이 2017년 25% 대폭 증액된 이후 매년 2~3%의 증가율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내년 예산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은 편은 아니지만 융합보안, 해킹 대응체계 고도화 예산 신설 또는 증액 등 정보보안 분야 핵심예산은 증액·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또 5G+ 융합서비스 보안모델 개발(50억원), 사이버 보안 챌린지 R&D(15억원) 등 주요 신규사업 예산을 반영하고, 융합보안 인재양성(32억원 증액), AI를 이용한 해킹 대응체계 고도화(35억원 증액) 등 주요 사업예산도 일부 증액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추경을 통해 53억원(5G 등 대용량 환경에서 보안 테스트베드 구축)이 올해 예산에 미리 반영됨에 따라 내년도 예산 증가율이 낮아진 측면도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 2021년 예산 편성과정에서 정보보호 분야 예산 증액 등 예산증가율을 높여 8500억원 편성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기재부 등 관계부처와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