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코로나19 피해 6일부터 서울 564개 신한·우리은행서 상담·접수

등록 2020.04.05 11:15: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6일부터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 대상 운영

[서울=뉴시스] 서울시 코로나19 피해자금’564개 신한·우리은행서 상담·접수 안내판. (사진=서울시 제공) 2020.04.05.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서울시 코로나19 피해자금’564개 신한·우리은행서 상담·접수 안내판. (사진=서울시 제공)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윤슬기 기자 = 서울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서울시 시금고(신한·우리은행) 564개(출장소 제외) 지점에 '서울시 민생혁신금융 전담창구'를 개설한다고 5일 밝혔다.

전담창구에서는 코로나19 피해기업 긴급경영안정자금(8000억원), 서울형 골목상권 119 긴급자금(2000억원), 서울형 이자비용 절감 대환자금(600억원)에 대한 상담과 실제 자금 지원 등을 실시한다.

우선 지난 2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코로나19 피해기업 긴급경영안정자금의 신속한 처리를 돕는다. 당초 확보한 5000억원이 2달 만에 소진된 만큼, 3000억원을 추가로 투입해 지원한다. 지원조건은 확진·직접·간접 피해 기업에 대해 1%대 저금리, 보증요율 0.5%, 보증비율 100%로 종전과 같다.

또 매출액 급감과 함께 임대료·인건비 등의 고정비용 지출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위해서 보증금액과 상관없이 약식보증심사를 통해 일괄적으로 2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신청은 6일부터 가능하다.

지원 조건은 직전연도 연 매출 2억원 이하, 업력 6개월 이상, 신용등급 7등급까지의 소상공인 대상이다. 다만 올해 서울신용보증재단 보증 지원을 받은 기업은 제외된다.

15% 이상의 고금리 대출을 이용하고 있는 저신용소상공인의 저금리대출로의 전환을 돕기위해 업체당 최대 3000만원을 융자 지원한다. 신청은 16일부터 가능하다.

서울시 민생혁신금융 전담창구가 운영되는 지점목록은 서울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www.seoulshinbo.co.kr)에서 확인가능하다. 사업장 소재지와 상관없이 가까운 지점의 상담창구의 직원에게 전화해 제출 서류와 방문일시 등을 안내받은 후 방문을 하면 된다.

1~3등급 고신용자는 14개 시중은행(농협·신한·우리SC·하나·국민·씨티·수협·대구·부산·광주·제주·전북·경남)의 이차보전 대출을, 1~6등급의 중신용자들은 기업은행의 초저금리대출을 이용하는 방안도 있다.

서성만 서울시 노동민생정책관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서울시 66만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경영애로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다각도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금융지원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시금고 외 타 금융기관과도 참여를 지속 협의중"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