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지방 건설업체 폐업 늘면…중소형 저축은행 타격"

등록 2023.12.22 11:44:54수정 2023.12.22 13:21: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신평, 신용등급 미보유 지방 중소형 47개사 분석

"지역 경제와 부동산 경기 악화 영향에 크게 노출" 진단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14일 서울 동대문구의 한 주택재개발 신축공사 현장을 방문해 타워크레인 운용 및 건설현장 점검을 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동대문구 한 주택재건축현장 모습. 2023.03.14. bluesoda@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14일 서울 동대문구의 한 주택재개발 신축공사 현장을 방문해 타워크레인 운용 및 건설현장 점검을 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동대문구 한 주택재건축현장 모습. 2023.03.1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지방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여파로 중소형 저축은행들의 건전성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저하될 수 있다는 신용평가사 진단이 나왔다.

22일 한국신용평가의 저축은행 업계 사각지대 점검에 따르면 분석대상인 신용등급 미보유 중소규모·지방영업 47개 저축은행의 포트폴리오는 기업여신에 73.9%가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여신은 부동산개발공급업, 임대업 등 부동산업 32.6%, 건설업 15.0% 등 부동산관련여신 비중이 47.6%로 높았다. 대부업대출로 추정되는 기타업종대출 비중도 33.6%로 컸다.

지방 단일 영역 비중이 높은 이들 저축은행은 최근 지방 건설업체의 폐업과 부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 등을 고려할 때 건전성에 추가적인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포트폴리오의 대부분인 85.2%가 담보대출로 구성된 점은 보완요인으로 지목된다.

이번 분석대상은 지역별로 ▲(서울)HB, 스카이, 민국 ▲(인천·경기)상상인, 세람, 남양, 인성, 금화, 안양, 인천, 융창, 안국, 삼정, 부림, 영진, 평택 ▲(부산·경남)동원제일, 진주, 우리, DH, 조흥, 솔브레인, 국제, S&T ▲(대구·경북·강원)참, 드림, MS, 유니온, 머스트삼일, 대백, 라온, 오성, CK ▲(대전·충청)상상인플러스, 오투, 한성, 청주, 대명, 아산 ▲(광주·전라·제주)동양, 더블, 대한, 스타, 센트럴 ▲(다지역)흥국, 조은, 삼호저축은행이 들어갔다.

이들 분석대상 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1년 말 3.4%에서 올해 상반기말 6.8%로 확대됐다. 이 기간 부동산업(3.2%→9.6%, 브릿지론 상당 부분 포함된 것으로 추정), 부동산PF(1.3%→6.5%), 건설업(2.7%→7.0%) 등 부동산관련 여신에서 건전성 저하가 컸다.

요주의이하여신비율 역시 부동산업(24.6%→41.2%), 부동산PF(10.1%→51.0%), 건설업(23.8%→34.3%) 등으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부동산 경기 저하, 높은 지방 사업장 비중, 열위한 시공사 신용도 등을 고려할 때 부동산관련여신의 건전성 지표는 추가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분석대상 저축은행의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PF 비중은 67.9%, 건설업 여신 비중은 50.4%로 집계됐다.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PF와 건설업 합산 비중은 118.3%에 달하면서 부동산 경기 악화 등에 대한 양적 부담이 높은 상황이다.

자기자본 대비 PF와 건설업 합산이 자기자본의 100%를 상회하는 업체는 30개사다. 그 중 12개사는 150%, 4개사는 200%를 상회했다. 비중을 보면 ▲200% 이상은 동원제일, 대백, 더블, 솔브레인저축은행 ▲150% 이상은 인천, 상상인, 상상인플러스, 안양, 머스트삼일, DH, 영진, 융창저축은행으로 나타났다.

정호준 한신평 연구원은 "분석대상 저축은행은 대부분 중소형사로 지방 영업 비중이 높고, 건설과 부동산업 비중이 높아 지역경제나 부동산 경기 악화 영향에 크게 노출돼 있다"고 진단했다.

정 연구원은 "성장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자본비율과 유동성 지표가 다소 높게 나타나지만, 개인 대주주 비중이 높아 대주주의 지원능력이 상대적으로 열위하다"며 "이 같은 점을 고려할 때 더욱 보수적인 자본비율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