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라크, 쿠르드에 압박↑…사법 수단 강구·휴대전화 네트워크 통제

등록 2017.10.10 09:10:2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에르빌=AP/뉴시스】이라크 교통부는 28일(현지시간) 국제 항공사들에게 29일 저녁부터 쿠르드 자치주의 주도 에르빌과 제 2도시 슐레이마니아의 노선 운항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이라크 쿠르드 자치주 깃발이 지난 27일 에르빌 국제공항에 걸려 있다. 2017.09.29

【에르빌=AP/뉴시스】이라크 교통부는 28일(현지시간) 국제 항공사들에게 29일 저녁부터 쿠르드 자치주의 주도 에르빌과 제 2도시 슐레이마니아의 노선 운항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이라크 쿠르드 자치주 깃발이 지난 27일 에르빌 국제공항에 걸려 있다. 2017.09.29


【서울=뉴시스】조인우 기자 = 이라크 중앙정부기 분리독립 주민투표를 강행한 자국 내 쿠르드족에 대한 압박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9일(현지시간) AFP통신과 터키 언론 데일리사바 등에 따르면 이라크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이날 "쿠르드자치정부(KRG)가 통제하는 자치지역의 원유 수익 및 관련 시장을 불법으로 독점한 의혹을 받고 있는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며 "부패가 드러나고 자금은 회복될 것"이라고 밝혔다.

 NSC를 이끄는 하이데르 알아바디 이라크 총리는 성명을 통해 "지난달 25일 불법 주민투표를 조직하고 이에 관여한 모든 쿠르드족 관리들의 명단이 정리됐다"며 "이들에게 법적 조치를 취했다"고 발표했다.

 또 "이라크 중앙의회는 KRG 자치지역의 모든 휴대전화 네트워크가 중앙정부의 통제 하에 있어야 한다고 결정했다"며 통제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앞서 이라크 중앙정부는 KRG 자치지역의 수도 격인 에르빌과 제2도시 술라이마니야 국제공항의 국제선 운항을 지난달 29일 오후 6시부터 전면 중단하고 해당 지역의 모든 외교공관을 폐쇄하는 등 본격적인 압박에 나섰다.

 국방부는 이라크 북부 KRG 자치구역의 국경을 통제하기 위해 인접국인 터키, 이란에 이를 강력하게 요구하기도 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