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UN 보고서 "北, 안보리 제재 위반…석유거래·무기판매 시도 정황 포착"

등록 2018.08.04 12:53:5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베이징=AP/뉴시스】 중국 상무부는 23일(현지시간) 해관총서(세관)와 함께 발표한 공고문(2017년 52호)에서 대북 수출 수입 제품들에 관련된 조치를 발표했다.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375호에 따라 대(對)북 석유제품 수출을 제한하고 북한산 섬유제품 수입을 금지한다. 북한 군인이 지난 2016년 5월8일 중국 단둥(丹東)과 인접한 신의주에서 정제 석유 제품을 지키고 있다. 2017.09.23

【베이징=AP/뉴시스】 중국 상무부는 23일(현지시간) 해관총서(세관)와 함께 발표한 공고문(2017년 52호)에서 대북 수출 수입 제품들에 관련된 조치를 발표했다.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375호에 따라 대(對)북 석유제품 수출을 제한하고 북한산 섬유제품 수입을 금지한다. 북한 군인이 지난 2016년 5월8일 중국 단둥(丹東)과 인접한 신의주에서 정제 석유 제품을 지키고 있다. 2017.09.23 



【서울=뉴시스】조인우 기자 = 북한이 유엔의 경제 제재를 피해 해상 석유 거래를 통해 원유를 획득하고 시리아 중개인을 거쳐 예멘과 리비아에 무기를 판매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은 전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된 62쪽 분량의 전문가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보고서는 "해상 석유 거래는 북한이 유엔의 제재를 회피하는 주요 수단"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북한은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중단하지 않고 석유 및 석탄 제품의 해상 거래를 크게 증가시키며 안보리의 결의안에 어긋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은 지난해 채택된 유엔 결의안에 명시된 석유, 연료 및 석탄에 대한 거래 상한 조항을 무시하면서 유엔 제재를 비효율적으로 만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엔은 안보리를 통해 채택한 대북 제재 결의안 2397호에 따라 북한이 연간 수입할 수 있는 정유 제품을 50만 배럴로 제한했다.

 보고서는 또 북한이 리비아, 예멘, 수단에 시리아 중개인을 통해 소형 무기 및 군사 장비를 공급하려고 시도한 정황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중개인으로 지목된 시리아의 무기 거래 업자 후세인 알-알리는 예멘과 리비아의 무장단체에 북한산 무기를 제공한 인물이다.

 유엔 전문가들은 북한의 무기 금수 조치를 위반하는 군사 협력에 대해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보고서는 또 북한이 지난해 10월에서 지난 3월까지 중국과 인도 등 국가에 철, 강철 등 금지 품목을 수출해 1400만달러(약 157억9200만원)를 벌어 들였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과의 합작 투자 금지 조치를 어기고 공동으로 운영되는 200개 이상의 기업을 밝혀냈다"며 "그 중 대다수가 러시아의 건설기업"이라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