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日언론 "위안부재단 해체는 합의 무효화…한일관계 악화 불씨"

등록 2018.09.27 11:11:3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아사히 "대법원 강제징용 피해자판결 우려돼"

닛케이 "위안부합의, 껍데기만 남게 될 것"

마이니치 "한일 간 새로운 현안"

【 유엔=교도·AP/뉴시스】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25일(현지시간) 유엔총회가 열리고 있는 미국 뉴욕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2018/.09.26

【 유엔=교도·AP/뉴시스】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25일(현지시간) 유엔총회가 열리고 있는 미국 뉴욕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2018/.09.26

【도쿄=뉴시스】 조윤영 특파원 =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서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화해치유재단의 사실상 해체를 시사한 데 대해 일본 언론들은 말을 아끼면서도 "한일관계 악화의 불씨"가 될 것이라며 경계했다.

 일본 5대 일간지 중 하나로 보수 성향의 요미우리신문은 27일 조간에 재단 해체와 관련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한일 정상회담에서 2015년 한일 위안부합의에 따라 일본 정부 출연금으로 설립한 '화해치유재단'의 해체를 시사했다"며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합의의 착실한 실행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고만 보도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에 오히려 반응하며 경계한 것은 일본 국내에서 비교적 한국에 우호적인 진보 성향의 신문이었다. 아사히신문은 27일 "위안부문제 등으로 악화된 한일관계가 개선돼 일본은 한국을 통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에게 메세지를 받고 회답을 얻게 됐다"고 평가하면서도 "(재단 해체는) 향후 (한일관계 악화의) 불씨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이어 문 대통령이 아베 총리와의 회담에서 "위안부 할머니들과 국민 반대로 화해치유재단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고 고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며 "이는 문 대통령이 일본에 비판적인 여당 지지자 및 여론으로부터 실망을 사 지지율이 떨어질 것을 염려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신문은 아울러 향후 한일관계 악화의 또 하나의 불씨는 올해 안에 결론이 나올 것으로 보이는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판결이라고 전했다. 아사히는 일본 기업의 자산이 차압당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이 판결과 관련해 문 대통령은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며 원칙론을 말하는데 그쳤다며 이로 인해 한일관계가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한 의견 교환까지는 이르지 못했다고 우려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는 2015년 한일 위안부합의에 따라 일본 정부는 화해치유재단에 10억엔(약 100억원)을 냈으며 다수의 위안부 출신 할머니들이 재단을 통해 지급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신문은 만약 재단이 해산되면 일본의 출연금은 공중에 뜨게 되며 위안부합의는 알맹이는 없고 껍질만 남게 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닛케이는 이어 문 대통령이 아베 총리에게 합의 파기 및 재협상은 요구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결국 재단 해체는 합의 무효화로 연결돼 일본이 '위안부문제는 해결된 것'이라고 주장하기 어렵게 하려는 한국 측의 의도가 보인다고 주장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지난 7월 한국 정부가 일본의 출연금 10억엔을 양성평등기금으로 대신한데 대해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이 한일합의의 정신 위반이라고 반발했다며 "이런 상황에서 화해치유재단 해산 문제는 한일간에 새로운 현안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