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코로나19 전략 전면수정…중증 병원서 입원치료·경증 시설격리·관찰

등록 2020.03.01 18:42: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질본 "코로나19 대응 피해 최소화 전략으로 전환"

개별 진단검사 지자체가…집단유행은 방대본이

[서울=뉴시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 겸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이 26일 충북 오송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현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질병관리본부 제공) 2020.02.28.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 겸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이 26일 충북 오송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현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질병관리본부 제공) 2020.02.2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연희 이기상 기자 = 방역당국이 향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고령자나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 사망을 막기 위한 치료에 집중하고 경증환자는 치료보다는 방역을 위해 격리·관찰하는 전략으로 바꿔나가기로 했다. 확진자 80%가 경증으로 완치가 가능한 반면 고위험군은 고령자나 기저질환자는 적극적인 치료가 가능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현재 방역대응체계를 전반적인 피해 최소화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인식하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병-19 대응지침을 7번째로 개정해 2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코로나19는) 감염 초기, 특히 경미한 증상일 때부터 전파가 일어나며 특히 닫힌 공간에서 밀접한 접촉이 일어났을 때 더욱 강하고 빠르게 전파가 일어나는 특성이 있다"며 "이렇게 빠른 특성에도 불구하고 다행히 80%는 경증으로 완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고위험군인 고령자, 기저질환자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중증상태로 가지 않고 또 사망 방지를 위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피해를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는 전략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를 비롯한 국립중앙의료원의 중앙임상위원회, 범학계 코로나19대책위원회 등의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코로나19 대응체계의 전략적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제언을 해줬다"며 지침 변경 이유를 설명했다.

지침 변경에 따라 방역당국은 환자 중증도 분류에 보다 집중하고 중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환자 치료에 역량을 모으기로 했다.

정 본부장은 "환자의 중증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서 의학적인 입원치료 필요성과 방역적인 격리조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예정"이라며 "입원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적절한 전담병원에 입원치료 하고, 경증 환자는 전파 차단을 목적으로 생활치료센터에서 생활하면서 의학적인 모니터링과 치료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퇴원 및 격리해제 기준도 변경한다. 지금처럼 진단검사 결과 2회 음성 등 전염력이 없어지면 격리 해제하는 현재의 원칙은 유지하되, 의료기관에 입원격리 치료 중에 임상 증상이 호전된 경우는 퇴원조치하기로 했다. 대신 생활치료센터에서 전염력이 없어질 때까지 경과를 관찰한 후 격리를 해제한다.

개별적인 진단검사는 신속한 대응 차원에서 지자체 소관으로 넘어가게 된다. 1차적으로 지자체가 선제적으로 시행하되, 의료기관이나 집단시설에서 유행이 발생한 경우 방대본 즉각대응팀이 추가적인 확산 차단에 나서는 방식이다.

질본의 이같은 지침 변경은 같은날 국립중앙의료원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중앙임상위)의 제언과 맞아떨어진다.

중앙임상위는 앞서 브리핑을 통해 경증환자를 시설에 격리해 관찰하고 치료할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또한 증상 호전 등 치료를 받은 환자는 퇴원조치를 완화하되 바이러스가 사라지는 3주(21일)간 자가격리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