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신천지 집중하느라 환자 놓쳐…우선순위 '신천지→위험군' 전환

등록 2020.03.03 13:29:49수정 2020.03.03 13:37:1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대구·방대본과 논의…고위험군 환자 집중하기로"

"위험군에 의료자원 투입…사망 줄이는 조치 집중"

[세종=뉴시스]강종민 기자 =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이 3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현황 등을 브리핑 하고 있다. 2020.03.03.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강종민 기자 =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이 3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현황 등을 브리핑 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 정부가 지금까지 신천지 신도를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에 집중하다 정작 치료가 필요한 대구 시민들을 놓쳤다고 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고위험군 환자 치료에 집중할 방침이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실시한 정례브리핑에서 "무증상 신천지 신도에 대한 검사를 집중하다 보니 실제 검사를 요청했던 일반 대구 시민들이 제때 검사받을 기회를 놓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며 "신도를 떠나 위험 가능성이 높은 분들이 우선 검사와 치료 기회를 받을 수 있도록 전화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와 방역 당국은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대구시를 대상으로 피해 최소화 전략을 실시하고 있다. 피해 최소화 전략은 전염병 사망자를 줄이는 전략으로 사망 가능성이 큰 고위험군 환자를 찾아내 치료 자원을 집중해야 한다.

그러나 신천지 대구교회 종교행사를 참석하거나 이들의 가족, 친지, 지인 등 접촉자를 중심으로 코로나19가 전파되자 정부는 신천지 교인을 중심으로 감염 차단을 목표로 해왔다. 이에 따라 검사를 제때 받지 못했거나 대구시 내 병상 부족으로 자택 대기 중 사망한 환자가 나왔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자 정부와 중앙방역대책본부, 대구시는 신천지 신도와 고위험군 환자 중에 의료자원을 누구에게 집중해야 할지를 논의해왔다.

김강립 1총괄조정관은 "대구 지역에서 두 가지 문제점 지적이 나왔었다"며 "우선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고위험군에 치료 자원을 집중하고, 중등도 이상의 환자를 입원시켜 병이 조기에 악화되는 것을 예방을 하는 방식으로 해서 의료자원의 위험도에 따른 배정 원칙을 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음으로 무증상 신천지 신도들에 대한 검사에 집중해 실제 검사 필요성이 있다고 요청하셨던 일반 대구 시민들이 제때 검사를 받을 기회를 놓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대구 지역에 대해 여러 가지 논의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대구시 및 방역 당국과 논의한 결과 고위험군 환자에 우선 집중한다는 방침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방침에 따라 당국은 사망자가 늘지 않도록 고위험군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자원을 집중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김 1총괄조정관은 "위험군부터, 신도를 떠나 위험 가능성이 높은 분들이 우선적으로 검사를 해서 치료의 기회를 우선적으로 부여받을 수 있도록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논의를 모았다"며 "이와 관련해 현재 대구시 등과 회의를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또 "변경된다면 구체적 내용은 확정 이후 말씀드리겠다"라며 "위험도가 높은 분들부터 검진하고, 우선적으로 높은 수준의 의료자원이 투입되도록 하는 이런 원칙으로 전환돼 더 이상 사망이 늘지 않도록 하는 조치들이 실효성 있게 작동되도록 해야 된다란 원칙의 의견을 모았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