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국민 83.4% "거리두기 더 빨리 올렸어야"…"공정했다" 49.3%

등록 2021.02.02 09:12:0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정부,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 위한 대국민 인식조사

사회적 거리두기 평가 긍정적…'효과적' 응답 81.3%

[서울=뉴시스] 박미소 기자 =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설 연휴까지 2주 연장하기로 발표한 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묘 벼룩시장이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2021.01.31. misocamera@newsis.com

[서울=뉴시스] 박미소 기자 =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설 연휴까지 2주 연장하기로 발표한 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묘 벼룩시장이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2021.01.3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한주홍 기자 = 국민 10명 중 8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유행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을 더 발리 했어야 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일 나왔다. 거리두기 정책이 공정했느냐는 질문에는 49.3%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27일부터 이틀간 전국 만18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3차 유행 차단을 위해 정부가 단계를 더 빠르게 올렸어야 한다는 질문에 83.4%가 그렇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15.0%에 그쳤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적용의 형평성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렸다. 3차 유행 시기에 거리두기 정책이 모든 국민에 공정했느냐는 질문에는 49.3%가 그렇다고 답했고, 48.3%는 그렇지 않다고 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에 대한 피로감도 상당수가 호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피로감을 경험했느냐'는 질문에 81.2%가 피로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피로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은 17.4%였다.

거리두기를 위해 영업이 중단되거나 제한된 자영업자를 위해서는 국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79.8%에 달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18.5%에 그쳤다.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에 대한 평가는 상당수가 긍정적이었다. 거리두기가 코로나19 3차 유행에 효과적이었느냐는 질문에는 81.3%가 그렇다고 답했다. 효과적이지 않다는 응답은 16.7%였다.

사회적 거리두기 동참을 위해 모임이나 약속을 취소하고, 외출을 자제했다는 응답은 97%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보건복지부가 지난 27일부터 28일까지 이틀간 전국 만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웹조사 및 모바일조사를 병행해 이뤄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