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재명 '포용 행보'·이낙연 '개혁 보강'…돌출 악재에 발목

등록 2021.08.20 07: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이재명, 황교익·이낙연 캠프 공방에 타 후보 칭찬 릴레이 중단

이낙연, 검찰·언론 개혁 부각…추미애, 면피용 비판에 제동 걸려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 이낙연 전 대표와 이재명 경기지사 (사진 = YTN 주관 더불어민주당 20대 대선 후보자 토론회) *재판매 및 DB 금지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 이낙연 전 대표와 이재명 경기지사 (사진 = YTN 주관 더불어민주당 20대 대선 후보자 토론회)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재우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지사와 이낙연 전 대표가 예상하지 못한 돌출 악재에 발목을 잡혔다.

이 지사는 공고해진 지지율을 토대로 타 후보를 포용하는 '원팀' 행보를 시작했지만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씨가 자신을 부적격 인사라고 비판한 이낙연 캠프 측과 원색적인 공방을 주고받으면서 반(反)이재명 전선이 다시 구축되는 곤혹스러운 상황에 직면했다.

이 전 대표도 지지율 반등을 위해 중립 지대에 있는 친문계 의원들과 토론회를 열며 '친문 대표성'과 '개혁성' 보강에 나섰지만 추미애 전 법무장관이 '사실 왜곡', '책임 면피'라고 강력 반발하면서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이 지사가 도우미로 생각했던 황씨는 계륵 같은 존재로 변했다. 이낙연 전 대표 측이 경기관광공사 사장 내정을 비판하면서 일본 음식을 높게 평가하고 한국 음식을 폄훼한 전력 등을 거론하자 친일 프레임을 씌웠다면서 "이낙연의 정치적 생명을 끊는 데 집중하겠다"며 도를 넘은 공세를 폈다.

이 지사가 선제적으로 네거티브 중단을 선언하고 이 전 대표 등을 칭찬하는 등 경쟁 후보 포용 행보에 나선 것에 역행하는 태도를 보인 것이다. 이 지사의 한발 앞선 선언이 경쟁자인 이 전 대표의 지지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 것을 고려하면 예상치 못한 악재다.

이 전 대표와 정세균 전 총리, 박용진 의원 등 경쟁 후보들은 임명권자인 이 지사에게 결자해지를 압박하고 있다. 황씨 논란을 매개로 반이재명 전선이 재현된 셈이다. 송영길 대표와 '문재인 복심' 윤건영 의원 등 중립 성향 인사까지 황씨 발언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이 지사 측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황씨 논란은 이 전 대표 측이 주장해온 보은 인사, 불공정 인사 의혹에 대한 주목도를 높이고 있다. '거침 없는 발언'으로 유명한 이 지사는 19일 황 씨 논란에 대해 "해야 되나요? 안 하고 싶은데…"라고 답을 피했다. 내정을 철회하든 강행하든 논란이 불가피하기 때문인 점을 의식한 행보로 보인다.

황씨는 이 전 대표의 간접 사과, 이 지사를 지원하는 이해찬 전 대표의 중재 이후 자신의 거친 발언에 대해 사과한 뒤 거취를 오늘 정리하겠다며 자진 사퇴를 시사했다.

이 지사를 돕고 있는 한 의원은 "경선판에 엉뚱한 사람이 끼어들었다"며 "거취는 본인 결정할 문제라 이래라 저래라 하기 어렵지만 거친 말을 주고받으면서 경선이 혼탁해지는 상황은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저격수로 나선 추 전 장관의 아킬레스건 공격에 타격을 받는 모양새다.

이 전 대표는 지난 18일 김종민 의원과 유튜브 채널 '이낙연 TV'를 통해 검찰개혁을 주제로 끝장토론을 벌였다. 그는 타 후보에게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완전히 분리하는 법안을 연내 처리하도록 지도부에 공동 건의할 것을 제안하면서 검찰개혁 아젠다 주도를 시도했다.

그는 홍영표·신동근 의원과도 정치개혁, 기본소득 등을 둘러싼 토론도 앞두고 있다. 일련의 토론회는 이 전 대표의 약점으로 지목되는 개혁성을 보강하고 이 지사에 대해 여전히 거부감을 가진 친문 지지층을 집결할 기회로 꼽힌다.

토론 상대인 김 의원은 친문 지지층이 중요시하는 검찰개혁에 앞장서온 인물이다. 홍 의원은 친문 그룹인 부엉이 모임 좌장으로 핵심 친문으로 분류된다. 신 의원 역시 강성 친문으로 꼽힌다. 이들은 중립을 자처하고 있지만 16일 이 지사의 대표 공약인 기본소득을 비판하며 공개 토론을 요구한 바 있다.
 
그러나 추 전 장관이 19일 "대단히 실망스럽고 배신감까지 느낀다. 정치를 그렇게까지 해야 하냐"며 강력 반발하고 나서면서 검찰개혁 아젠다를 내세워 반등을 도모하려는 구상에 차질을 빚게 됐다.

추 전 장관은 이 전 대표가 총리와 당대표 시절 검찰개혁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개혁입법 약속을 저버렸다면서 이 전 대표가 제안한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 완전 분리 제안을 '면피용'으로 평가절하했다. 그는 2016년 촛불시위 당시 이 전 대표의 행보도 문제 삼고 있다.

이 전 대표 측에서는 추 전 장관의 제동에 불쾌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양새다. 한 캠프 관계자는 "검찰개혁을 필두로 개혁 행보에 돌입한 상황에서 (추 전 장관이) 찬물을 끼얹은 격"이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