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尹에 말폭탄 날린 김정은, 7차 핵 실험까지 폭주할까

등록 2022.07.28 15:40:3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8월 한미 연합 연습 계기 군사 도발 우려

일각에선 시진핑 연임 확정 이후 예상

[평양=AP/뉴시스]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제공한 사진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평양에서 열린 6·25전쟁 정전협정 체결 69주년 기념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북한은 6·25 한국전쟁 정전 체결을 미군에 승리했다고 주장하며 '조국 해방전쟁 승리의 날'(전승절)로 기념한다. 2022.07.28.

[평양=AP/뉴시스]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제공한 사진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평양에서 열린 6·25전쟁 정전협정 체결 69주년 기념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북한은 6·25 한국전쟁 정전 체결을 미군에 승리했다고 주장하며 '조국 해방전쟁 승리의 날'(전승절)로 기념한다. 2022.07.28.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해 이른바 말폭탄을 날린 가운데 핵 실험 등 도발을 재개할지 우려된다.

김 위원장은 지난 27일 평양에서 전승 69돌 기념행사 연설을 통해 윤 대통령을 공개 비난한 데 이어 "지금 우리 무장력은 그 어떤 위기에도 대응할 철저한 준비가 돼있으며 우리 국가의 핵 전쟁 억제력 또한 절대적인 자기의 힘을 자기의 사명에 충실히, 정확히, 신속히 동원할 만전 태세에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적들의 발악적인 군비 확장 책동과 위험한 군사적 기도들을 더욱 철저히 제압 분쇄해야 할 우리 혁명의 정세는 우리 군사력의 더 빠른 변화를 필요로 제기하며 이 역사적 과업의 책임적인 실현을 위해 우리 당 중앙은 최근에 국가 방위력의 발전 전략에 관한 임무를 책정하고 정확한 집행에로 영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미국 정부를 향해서도 "미국과의 그 어떤 군사적 충돌에도 대처할 철저한 준비가 돼있다는 것을 다시금 확언한다"며 "미국이 우리 국가의 영상을 계속 훼손시키고 우리의 안전과 근본 이익을 계속해 엄중히 침해하려 든다면 반드시 더 큰 불안과 위기를 감수해야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이번 연설을 계기로 향후 대남, 대미 군사 도발을 재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신승기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아마도 조만간 한미 연합 훈련 등에 대한 맞대응 차원에서 신형 유도 무기 시험 발사나 훈련이 재개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신 위원은 "특히 7차 핵 실험을 위한 대내외적 명분 쌓기 차원에서 한미 연합 훈련을 강하게 비난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따라서 8월까지 조금씩 긴장을 고조시키는 도발을 하다가 한미 연합 훈련의 수준과 강도에 맞춰 가장 적절한 시기를 선택해 핵 실험을 감행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내다봤다.

[평양=AP/뉴시스]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제공한 사진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평양에서 열린 6·25전쟁 정전협정 체결 69주년 기념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북한은 6·25 한국전쟁 정전 체결을 미군에 승리했다고 주장하며 '조국 해방전쟁 승리의 날'(전승절)로 기념한다. 2022.07.28.

[평양=AP/뉴시스]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제공한 사진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평양에서 열린 6·25전쟁 정전협정 체결 69주년 기념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북한은 6·25 한국전쟁 정전 체결을 미군에 승리했다고 주장하며 '조국 해방전쟁 승리의 날'(전승절)로 기념한다. 2022.07.28.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의 내부 경제 사정과 중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면 여전히 치밀하고 냉정한 접근 방식을 보여줄 것"이라며 "8월의 대규모 한미 군사 훈련 시기가 최고조의 안보 위기가 조성되는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부총장은 "북한이 경고성 메시지를 내놓은 만큼 향후 남북 관계나 북미 관계의 대화 가능성은 희박하다"며 "북한이 8월 한미 연합 훈련을 빌미로 미사일 발사를 지속하고 이후 미뤄뒀던 7차 핵 실험을 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내다봤다.

다만 일각에서는 연임을 앞둔 시진핑 중국 주석 입장을 고려해 김 위원장이 핵 실험을 미룰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중국 공산당 20차 대회 개최 전에 만약 북한이 제7차 핵 실험을 단행한다면 중국의 잔칫상에 재를 뿌리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며 "그래서 북한은 중국공산당 대회 개최 전보다 개최 후 핵실험 실시를 유력하게 고려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 센터장은 "북한으로서는 올해의 경제 계획 목표를 부분적으로라도 달성하기 위해 북중 철도 교역 재개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중국공산당 20차 대회 종료 전까지는 가능한 한 핵 실험이나 ICBM(대륙 간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를 자제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