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새 정부에 바란다②] 혁신 경쟁 나서는 은행들…규제 완화 목소리도

등록 2017.05.15 07: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국회사진기자단 =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 로텐더홀에서 열린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해 취임사를 하고 있다. 2017.05.10.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안호균 기자 = 급변하는 금융환경 속에서 은행들은 금융과 정보통신산업(ICT)의 융합인 핀테크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도 대선 기간 중 핀테크를 4차 산업혁명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어 금융과 IT를 융합한 서비스 경쟁은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시중은행들은 핀테크 스타트업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기존 업무에 다양한 핀테크 기술을 접목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 3월 금융권 최초로 음성인식 인공지능(AI)뱅킹 소리(SORi)를 출시했다. 소리는 고객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의미를 파악해 금융거래를 실행하는 서비스다. 또 생체 인증을 이용해 최초에 이체정보를 등록하면 보안카드나 인증서, 통장 비밀번호 등의 입력 없이 금융거래가 가능하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소리를 이용해 계좌이체, 조회, 환전, 공과금 납부, 상품추천, 맞춤공지, 금융스케줄 알림 등을 이용할 수 있다"며 "음성 인식기술이 뛰어난 '네이버 클로바(Clova) 플랫폼'과 제휴해 AI 뱅킹을 계속 발전시킬 예정"이라고 말했다.

 KEB하나은행은 지난 3월 핀테크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1Q Lab' 4기를 출범했다. 이번 1Q Lab 4기에는 ▲마인즈랩(인공지능) ▲코노랩스(인공지능) ▲BSMIT(로보어드바이저) ▲로보케어(지능형 로봇) ▲인포소닉(간편결제) ▲사이렉스페이(해외송금) ▲미드레이트(P2P대출) 등 7곳의 핀테크 스타트업 기업이 참여한다.

 하나은행은 지난 2015년부터 지금까지 이 사업을 통해 스타트업 20여곳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혁신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을 이끌 혁신 기술을 갖춘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금융과 연계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통해 핀테크 금융시장을 선도 하겠다"고 밝혔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부터 핀테크 기술을 이용한 ▲IC카드 인증서저장 ▲무방문입출금통장 ▲KB간편결제 ▲KB태블릿브랜치 ▲KB든든간편인증 ▲지문인증서비스 등을 내놓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금까지 24개의 핀테크 기업을 육성해 KB금융 계열사가 운영하는 각종 플랫폼에서 차별화된 고객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특화된 기술과 참신한 아이디어를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 입주공간 제공 투자유치, 전문가 멘토링 등 맞춤형 인프라를 제공하고, 스타트업의 우수한 기술을 계열사에 접목해 고객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등 핀테크 스타트업과 상생하는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은 '신한퓨처스랩'을 구축,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핀테크 스타트업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또 지난해 11월에는 모바일 자산관리 플랫폼 '엠폴리오'를 출시하고 국내 은행권 최초로 시도되는 로보어드바이저를 통한 포트폴리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기반으로 기존에 연기금과 같은 전문투자자나 거액자산가들에게만 활용됐던 포트폴리오 전략을 일반 개인고객에게도 확대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고객의 재산을 안정적으로 성장시켜 나갈 수 있도록 은행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언급했다.

 NH농협은행은 지난 2015년 핀테크 기업과의 상생협력을 위한 'NH핀테크혁신센터'를 설립했다. 혁신센터에서 농협 계열사를 대상으로 신사업 발표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신기술을 공유하고 있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핀테크 혁신센터 개소 이후 320여개 기업의 상담과 60여건의 서비스 컨설팅을 진행하며 핀테크기업과 동반성장하고 있다"며 "범농협차원의 새로운 상생모델을 통해 금융권과 핀테크기업이 함께 소통하고 시너지를 강화하는데 노력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한편 지난 4월 케이뱅크 출범으로 금융시장의 화두가 된 인터넷 전문은행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문 대통령은 이번 대선 공약집에서 까다로운 인허가 과정을 개선하고 진입장벽을 완화해 자격 요건을 갖춘 후보가 자유롭게 진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인터넷전문은행 자본 확충을 위한 은산분리 규제 완화에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업계는 향후 추진될 정부 정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행 은행법에서는 산업자본이 의결권 있는 주식 4% 이상을 보유할 수 없어 KT(케이뱅크)나 카카오(카카오뱅크)가 주도적으로 인터넷전문은행을 경영하기 어렵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은행을 지속적으로 운영해가면서 좋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자본 확충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며 "또 인터넷전문은행은 초기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바젤I을 적용받고 있지만 향후 바젤III 기준을 적용받을 경우 증자가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