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100년전 '독립만세 등불' 천안 아우내 봉화제 열려

등록 2019.02.28 20:58:3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3·1운동 100주년 유관순 열사 서훈 1등급 격상

【천안=뉴시스】 함형서 기자 =제100주년 3.1절을 하루 앞둔 28일 오후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사적관리소 앞에서 열린 아우내 봉화제에서 참가자들이 대형태극기를 앞세우며 횃불을 들고 행진을 하고 있다. 2019.02.28.foodwokr23@newsis.com

【천안=뉴시스】 함형서 기자 =제100주년 3.1절을 하루 앞둔 28일 오후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사적관리소 앞에서 열린 아우내 봉화제에서 참가자들이 대형태극기를 앞세우며 횃불을 들고 행진을 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천안=뉴시스】이종익 기자 = 100년 전 유관순 열사의 고향인 충남 천안시 병천면 아우내 장터 일원에서 울려 퍼졌던 독립 만세 함성이 28일 그 자리에서 재현됐다.

애국선열의 나라 사랑 정신을 기리는 '3·1운동 100주년 기념 아우내 봉화제'가 이날 오후 천안시 병천면 유관순열사기념관과 아우내 장터 일원 등에서 열렸다.

'아우내 장터 독립 만세 운동'은 1919년 4월 1일(음력 3월 1일) 유 열사와 김구응 선생 등이 주도해 펼친 비폭력 만세운동으로 당시 19명의 열사가 현장에서 일본 헌병대의 총탄에 맞아 숨졌으며 유 열사는 현장에서 체포돼 옥중에서 순국했다.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열린 이번 아우내 봉화제는 정부가 그동안 유 열사의 서훈 등급을 3등급(전체 5등급)에서 1등급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를 의결해 뜻 깊은 행사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구본영 천안시장과 류정우 아우내봉화제 추진위원장, 김경식 유경식 유족대표, 시민 등 주최 측 추산 3000여 명이 참석해 유관순 열사를 비롯한 애국선열의 나라 사랑 정신의 뜻을 기렸다.

【천안=뉴시스】 함형서 기자 =제100주년 3.1절을 하루 앞둔 28일 오후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사적관리소 앞에서 열린 아우내 봉화제에서 참가자들이 대형태극기를 앞세우며 횃불을 들고 행진을 하고 있다. 2019.02.28.foodwokr23@newsis.com

【천안=뉴시스】 함형서 기자 =제100주년 3.1절을 하루 앞둔 28일 오후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사적관리소 앞에서 열린 아우내 봉화제에서 참가자들이 대형태극기를 앞세우며 횃불을 들고 행진을 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봉화제는 유관순 열사 추모각 뒤편 매봉산 정상에 봉화가 타오르면서 대형 태극기를 앞세운 참석자들이 흰색 두루마기 차림에 손에 횃불을 들고 그날의 함성을 재현하며 3·1운동 당시 만세운동이 벌어졌던 아우내 기념공원까지 1.4㎞를 행진했다.

횃불 행진 도중에는 일본 헌병대와의 충돌 상황, 일제 헌병의 총칼에 희생당하는 모습 등도 연출됐다.

사적관리소 일원에서는 행사에 앞서 태극기 탁본체험과 감옥·고문 체험행사와 유관순 영화상영 등의 행사가 진행됐으며 유 열사와 함께 아우내 만세운동을 벌이다 순국한 선열 47명의 넋을 기리는 참배가 엄수됐다.

구본영 천안시장은 기념사에서 "100년 전 매봉산에서 피어오른 봉화는 대한민국 독립의 시작을 알리는 거룩한 불꽃이었다"며 "민족과 나라를 향한 선열들의 뜨거운 가슴을 다시 한번 마음속에 새기며 우리의 가슴속에도 이 나라를 사랑하는 거룩한 불길이 솟아나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박진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3.1절을 하루 앞둔 28일 오후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유관순 열사 추모각을 찾아 참배하고 있다. 2019.02.28. (사진=청와대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박진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3.1절을 하루 앞둔 28일 오후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유관순 열사 추모각을 찾아 참배하고 있다. 2019.02.28. (사진=청와대 제공) [email protected]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도 이날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3·1운동 100주년 기념 전야제에 앞서 유관순 열사 추모각을 찾아 참배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