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혁신도시 비상]②대전역세권·연축지구 원도심 활성화 신모델로

등록 2021.01.02 06:00:00수정 2021.01.02 07:53:1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대전역 일원 교통…연축동엔 과학·지식산업 공공기관 유치 목표

[대전=뉴시스]조명휘 기자 = 허태정 대전시장이 8일 오후 기자회견을 열어 '대전혁신도시' 지정 안건이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히고 있다. (사진= 대전시 제공). 2020.10.08. photo@newsis.com

[대전=뉴시스]조명휘 기자 = 허태정 대전시장이 8일 오후 기자회견을 열어 '대전혁신도시' 지정 안건이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히고 있다. (사진= 대전시 제공). 2020.10.08. [email protected]

[대전=뉴시스] 조명휘 기자 = 대전시는 정부에 혁신도시 지정을 건의하면서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대한민국 혁신성장의 거점과 원도심활성화를 통한 균형발전의 신모델을 만들겠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원도심 활성화와 도시재생을 기치로 내걸면서 도심내 혁신도시를 조성하는 대전형 혁신도시 구상은 국정목표인 국가균형발전을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한 모델로, 시즌1 사례들과 확연히 차별화된다.

민선7기의 핵심 시정목표인 원도심 활성화와 도시균형발전 시책의 완성편으로, 민선7기의 최대 성과로 꼽을만한데 향후 후보지에 적합한 핵심 공공기관을 어떻게 유치할지는 숙제다. 


◇ 대전역세권·연축지구 원도심재생 대전형 모델로 조성

대전 혁신도시 후보지 선정의 키워드는 원도심과 대덕특구, 4차 산업혁명 등이었고, 국토부의 입지선정지침 기준은 도시개발의 적절성과 동반성장 가능성이었다. 이런 키워드에 부합하는 후보지로 동구 대전역세권 지구 92만3000㎡과 대덕구 연축지구 241만7000㎡ 가 선정됐다.

현재 동구와 대덕구에는 현재 16개 재건축 사업구역과 18개 재개발구역, 10개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추진중이다. 시는 혁신도시 개발예정지구 후보지 인근의 사업에 대해선 신속한 행정지원을 통해 우선적으로 사업을 진행시킬 방침이다.
[대전=뉴시스] 대전 동구 대전역세권

[대전=뉴시스] 대전 동구 대전역세권

첫 후보지로 거론되는 대전역세권 지구는 대전역 개통과 더불어 대전의 중심지로 성장한 지역으로 대전시가지 형성의 기원지다.

저층 건축물이 전체의 약 93%에 이르고 일제 강점기 건축물 등 노후화된 건물이 밀집돼 있는데, 철도와 고속도로 접근성이 우수하고 지역산업 연계나 혁신기관과의  협력이 용이한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이 일대에서 최근 다양한 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정주여건 등이 크게 개선될 예정인 점도 장점이다.

특히 2025년까지 9000억원을 들여 동구 정동과 소제동 일원을 새로운 복합도시로 개발하는 '대전역세권 복합2구역' 개발사업이 추진된다. 민간개발 사업자로 ㈜한화건설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69층 규모의 주거시설과 판매시설, 호텔, 컨벤션 등 복합용도로 개발된다.

공동주택 558가구를 공급하는 중앙1구역 재개발사업에 1900억원이 투입되고, 1367가구를 공급하는 삼성4구역 재개발사업도 같은 기간동안 추진된다. 5500억원을 투입되는 쪽방촌 도시재생사업도 시행된다.
[대전=뉴시스] 대전 대덕구 연축지구

[대전=뉴시스] 대전 대덕구 연축지구

크고 작은 10여개의 공공 및 민간사업이 동시다발로 시행되면서 시는 최근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TF도 출범시켰다. 혁신도시 조성과 연계시켜 대전역 일원에서 추진 중인 개발사업의 성공을 도모하기 위한 조직이다.

2025년까지 대전역세권 일원의 각종 개발사업에 투입되는 금액만 2조3200여억원으로, 이주 공공기관 종사자의 정주조건도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와 한국철도시설공단, 코레일관광개발, 코레일네트웍스 등 철도교통 관련 공공기관을 집적 시키고, 중소기업이나 지식산업 관련 공공기관을 적극 유치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이 일대가 철도로 대표되는 상징성이 있는데다, 대전시가 최근 이 지역을 소셜벤처창업 특구로 집중 육성하고 있는 점이 고려됐다. 

연축지구는 구청사 이전 유력지역으로 오래전부터 거론되던 곳이다. 대덕구 전체의 균형발전 차원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곳에 위치한 구청을 옮겨야한다는 여론이 있었다.

대덕구 북부와 남부의 중간지대로, 연구단지와 직선도로만 개통되면 대덕특구로 포함될 수 있을만큼 대덕특구와 인접해있다.

[대전=뉴시스] 대전역세권·연축지구 혁신도시 중심의 도시성장축 모델.

[대전=뉴시스] 대전역세권·연축지구 혁신도시 중심의 도시성장축 모델.

전·답이 66%를 차지하고 있어 개발여력이 좋다. 신탄진 IC나 회덕IC 등 고속도로 접근성이 매우 좋고, 연구기관이나 산업단지내 기업의 협력이 용이한 점이 강점으로 꼽히고 있다.

무엇보다 행정타운이 포함된 도시개발사업도 추진되고 있는 점이 강점이다. 대덕구는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연축동 일원에 부지 약 2만㎡에 연면적 3만5600㎡ 규모의 신청사를 추진중인데, 주거와 상업, 유통과 관련된 시설이 순차적으로 들어설 전망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과학기술이나 지식산업 관련 공공기관을 유치하고,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주거와 업무, 상업이 결합된 지역으로 도시기반을 마련해 대덕특구와 연계한 과학기술 혁신클러스터로 조성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시는 대전역세권과 연축지구를 지역 특화산업 발전과 연계해 혁신클러스터 구축이 용이한 공공기관을 집중 유치해 개발해나갈 계획이다. 기존에 대전에 내려와 있는 공공기관과 상승효과를 낼 수 있는 기관도 유치시 고려사항이다.

또한 최근 중소벤처기업부의 세종시 이전 기정사실화에 따른 보상책으로 순도높은 공공기관 이전도 강력히 요구할 태세다. 정세균 총리는 최근 중기부 이전이 확정될 경우 기상청 등 청 단위 기관이 대전에 내려가는 것이 대안이라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

허태정 시장은 "충청권이 단합하고 정치력을 발휘해 성과를 냈다. 아직까지 시민들이 잘 체감하지 못하고 있지만 지역인재 의무채용 효과부터 구체적인 성과가 나오기 시작하면 시민들의 체감도도 올라갈 것"이라며 "원도심 재생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게 목표다. 정부의 공공기관 지방이전 결정에 대응해 선택과 집중을 통한 공공기관 유치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