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군산시, 정부지원 방침에 반응 싸늘 "공장 가동이 먼저'

등록 2018.02.21 13:44:0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군산=뉴시스】고석중 기자 = 18일 전북 군산시청 청사에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결정을 철회하라'는 대형 현수막이 걸려있다. 지엠은 지난 13일 "오는 5월 말까지 군산공장의 차량 생산을 중단하고 공장을 폐쇄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군산시는 "이번 조치로 1만여 가구 4만여 명이 넘는 인구가 생계 위기상황에 빠지는 심각한 상황에 몰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2018.02.18. k9900@newsis.com

【군산=뉴시스】고석중 기자 = 18일 전북 군산시청 청사에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결정을 철회하라'는 대형 현수막이 걸려있다. 지엠은 지난 13일 "오는 5월 말까지 군산공장의 차량 생산을 중단하고 공장을 폐쇄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군산시는 "이번 조치로 1만여 가구 4만여 명이 넘는 인구가 생계 위기상황에 빠지는 심각한 상황에 몰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2018.02.18. [email protected]

【군산=뉴시스】고석중 기자 = 정부가 전북 군산지역을 고용위기 지역 및 산업위기 대응 특별지역으로 지정했지만, 지역사회는 싸늘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21일 "군산시는 정부가 군산지역의 현안을 해결하려는 노력은 높이 산다. 하지만, 이번 조치는 일시적 도움일 뿐, 지역의 미래 발전을 견인하는 방책이 될수없어 쌍손을 들어 환영하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이어 "군산공장에 신차( 차세대 수소전기차) 생산기지로 전환, 안정적인 생산물량 확보를 통한 정상화를 촉구한다"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요구했다.

 지역 일각에서는 "지엠(GM)이 군산공장 회생 방안에 대해 적극적인 의지를 표명하지 않고 있는 만큼, 조속한 공장 매각을 통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정부는 현대중 군산조선소의 도크가 멈춘 데 이어 지엠 군산공장까지 가동 중단이 결정된 군산지역에 구제정책을 펼친다는 방침이다.

 고용위기 지역은 고용보험을 통한 고용안정지원 등 종합 취업 지원대책을 수립해 지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자치단체 일자리 사항에 대한 특별지원의 길도 열린다.

 또 산업위기 지역은 국가균형특별법에 근거해 기업 및 소상공인에 대한 자금·융자 출연 등이 지원된다.

 실질자와 퇴직자에 대해서는 고용안정 지원이 이뤄지고, 그 밖에 지역경제 위기를 극복하는 데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원도 가능하게 된다.

 지난 13일 지엠의 군산공장 셧다운(shutdown) 방침에 군산시는 멘붕상태에 빠졌다. 미래에 대한 걱정과 불안, 공포가 도시를 휘감고 있다.

 군산공장(조립공장) 2000여명을 비롯해 130여 개에 달하는 협력업체(부품 공장)까지 줄도산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현재 지역상권 붕괴와 부동산 가치하락, 인구감소 등이 현실화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물론 조선과 자동차 학과를 개설한 대학들도 초비상이다.

 군산시와 군산시의회 등은 비상체제에 돌입, 정부의 대책마련과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결정 즉각 철회를 위한 릴레이 1인 시위에 나서고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