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부산 시민단체 "에어부산, 4년간 350명 퇴사"…시에 대책 촉구

등록 2023.07.31 16:06:51수정 2023.07.31 18:08:0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지난 5년 동안 임금 동결로 저임금 심화

[부산=뉴시스]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에어부산 본사 사옥. (사진=에어부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에어부산 본사 사옥. (사진=에어부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원동화 기자 =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가 31일 긴급성명서를 내고 에어부산 줄퇴사 문제 해결을 위해 부산시와 부산상공회의소, 지역 정치권이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31일 부경연은 "에어부산은 지난 2019년부터 지난 4년 동안 350명이 퇴사해 직원 수가 1500명에서 1200명으로 20%나 감소했다"며 "퇴사 이유는 지난 5년 동안 임금 동결에 따른 저임금 문제"라고 꼬집었다.

에어부산은 상장 중인 저비용항공사(LCC) 4개 사 중 유일하게 임금이 동결된 상황이다. 에어부산은 2020년부터는 급여 반납 및 휴직을 실시해 경제 체력이 상당히 소진돼 있다. 반면, 진에어와 티웨이항공, 제주항공은 최소 10% 이상 임금 인상 협상이 완료됐다.

부경연은 "임금 인상 전에도 에어부산은 타 항공업계 대비 낮은 임금 수준을 받았다"며 "저임금으로 인한 직원 사기 저하와 근로 의욕 감소는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지역의 항공 전문 인력이 수도권 소재 항공사로 유출될 경우 인적 경쟁력 확보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부경연은 "다른 항공사 수준인 최소 10% 임금 인상을 통해 각종 안전사고 위험 감소 및 지역 거점 항공사 인적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며 "부산시, 부산상공회의소, 지역 국회의원 등은 이 문제 해결에 시급히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에어부산의 인력 유출은 산업은행 채권단 산하에 있어서 경제적으로 자유롭지 못한 부분 때문으로 풀이된다. 에어부산은 아시아나항공 자회사로, 신규 채용이나 임금 인상에 산업은행의 입김이 크게 작용한다. 신규 채용의 경우 안전 문제가 걸려 있는 정비직군이나 캐빈승무원만 진행한다. 일반직 직원 채용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