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삼성 갤럭시S20, 올해 4000만대 판매 청신호…"막강한 스펙·가격이 강점"

등록 2020.02.07 11:43:1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3종라인업과 전 모델 5G 지원으로 교체 대기 수요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을 듯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여파로 인한 수요 위축 우려는 있어

[서울=뉴시스]해외 개발자 커뮤니티 XDA디벨로퍼스에서 공개한 '갤럭시 S20' 실물. 사진 XDA디벨로퍼스

[서울=뉴시스]해외 개발자 커뮤니티 XDA디벨로퍼스에서 공개한 '갤럭시 S20' 실물. 사진 XDA디벨로퍼스


[서울=뉴시스] 김혜경 기자 = 삼성전자가 오는 11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언팩 행사를 통해 공개할 신형 스마트폰 '갤럭시 S20' 시리즈의 올해 판매량이 4000만대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7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분기별 모델 출하량 전망보고서를 통해 갤럭시 S20 시리즈는 2016년 출시된 갤럭시 S7 시리즈 이후 처음으로 출시 첫 해 출하량이 4000만대를 넘길 것으로 전망했다.

갤럭시 S7 시리즈는 지금까지 출시된 갤럭시S 중 가장 많이 판매된 시리즈로써 출시 첫 해 출하량이 5000만대에 이르렀으나, 이후 시장에 나온 S8, S9은 동기 판매량이 3400만대에서 3800백만대 수준에 머물면서 '성공작'이라고 부르기에는 부족했다.

작년 출시된 S10 시리즈는 3월에 3종 출시 후, 4월에 출시한 5G 모델까지 총 4개의 제품 라인업을 선보이며 다양한 고객군을 잡기 위해 노력하면서 초기 판매량에서는 선방했으나, 뒷심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3600만대 수준의 판매량에 머물렀다.

그러나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5세대 이동통신(5G)이 전세계적으로 본격 상용화하는 올해에는 삼성전자가 갤럭시 S20 시리즈 내 모든 제품 라인을 5G 모델로 출시하며 글로벌 핵심 모바일 트렌드인 5G를 선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갤럭시 S20시리즈의 카메라, 메모리 등의 스펙이 대폭 업그레이드 된 것도 판매량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S20에는 12MP 메인, 64MP 망원, 그리고 12MP 초광각의 총 3개의 카메라가 탑재되며, S20  플러스에는 ToF카메라가 추가로 탑재된다.

더욱 주목해야할 것은 최고 사양 모델인 갤럭시 S20 울트라이다. 이 모델의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광학 10배줌을 지원하며, 여기에 개선된 소프트웨어와 결합한 디지털 100배줌 기능을 탑재하여 역대급 카메라 스펙을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슈퍼줌(Super Zoom)’ 기능은 108MP의 초고화소 메인 광각 카메라와 결합하여 기능적으로 높은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48MP 망원, 12MP 초광각, 그리고 ToF 카메라는 S20 플러스 모델과 동일하게 탑재된다.

또 하나 주목해야 할 스펙은 메모리다. 삼성은 1년 전 갤럭시 S10 플러스에는 최초로 1TB의 NAND를 탑재하여 저장 용량에 힘을 주었으나, 이번 S20 울트라에서는 저장 공간을 512GB로 제한하고, 대신 스마트폰 최초로 16GB 램을 탑재했다.

2019년 3분기 기준 글로벌 스마트폰의 평균 램 용량이 4GB가 채 되지 않는 것과 비교해보면 엄청난 수준의 고용량이며 PC와 비교했을 때도 절대 뒤쳐지지 않는 스펙이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임수정 연구원은 "작년 상반기 글로벌 상용화 이후로, 올해 역시 5G는 글로벌 모바일 트렌드를 관통하는 주요 트렌드"라며 "고화질의 실시간 동영상과 고사양 클라우드 게이밍과 XR 등은 초기 5G 시장의 중요한 사용 사례로서, 삼성이 이번에 16GB의 높은 램 용량을 탑재한 것은 이러한 5G 어플리케이션에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로 여겨진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고사양의 하드웨어 스펙 대비 소비자 가격은 합리적인 수준에서 정해질 전망이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전작인 S10이 899.99달러에서 시작했던 것에 비해, S20은 850달러 수준으로 가격을 책정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격적인 측면에서 소비자의 심리적 부담을 낮추고 판매를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수정 연구원은 "삼성은 S10e로 멀티모델 전략의 효과를 시험했으며, 이번에 적당한 가격의 S20을 통해 더 나은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5G 상용화 지역이 점차 확대되면서 스마트폰 교체수요가 늘어나는 것도 판매량을 끌어올리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중국 우한에서 발행하여 확대되고 있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로 인한 수요 위축의 우려가 있다. 삼성은 작년 하반기에 중국 휴대폰 생산라인을 완전히 철수하여 공급적인 측면에서의 위험은 완화됐지만, 바이러스 전염 우려로 인해 공개 이벤트 및 마케팅 활동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어 판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