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강경화 "위안부합의, 피해자 소통 부족"…'파기' 가능성도

등록 2017.12.26 10:37:3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이영환 기자 =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전체회의에 참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이날 열린 전체회의에서 외무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 양성평등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 군인사법 일부개정법률안 등이 논의됐다. 2017.12.20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 2017.12.2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지훈 기자 =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6일 지난 2015년의 12월28일의 한·일 정부 간 위안부 합의가 피해자와의 소통이 부족한 가운데 이뤄졌으며, 향후 이 합의에 대한 모든 '옵션'을 열어놓고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기자단 감담회에서 "위안부TF가 초점을 맞췄던 부분은 합의가 나오기까지 피해자와의 소통이 충분히 이뤄졌는지를 위주로 봤고, 내일(27일) 발표가 되겠지만 '상당히 부족했다'는 결론"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강 장관은 이어 "예상할 수 있었던 결론이지만, 증거를 갖고 (향후 방침을) 이야기할 수 있는 상황이 되는 것"이라며 국민 70%가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 합의, 피해자와 단체들이 흡족해하지 못한 이 합의를 정부가 어떻게 갖고 갈 것인가에 대해서는 모든 옵션을 열어놓고 이분(피해자)들과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지원단체들은 지난 2015년 합의 직후부터 파기를 요구해온 터라, 이러한 입장이 정부 입장 정립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다.

 다만 강 장관은 "TF 결과 보고서에 정부에 대한 정책적 건의는 담기지 않았다"며 "앞으로 정부가 취해야 할 방향은 TF 결과만으로는 성립이 안 된다. TF 결과를 십분 수용하되, 피해자와 그들을 지원하는 단체 등과의 소통을 통해 (정부 방향을) 정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장관은 아울러 "이 문제는 기본적으로 인권의 문제"라며 "피해자와 피해자를 지원해 온 단체들의 생각을 충분히 담아서 앞으로 나가야 할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오는 27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위안부TF 결과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결과 보고서는 2014~2015년 모두 12차례에 걸쳐 열렸던 한일 외교부 '국장급 협의'의 절차적 정당성, 합의에 '불가역적'이라는 표현과 소녀상 이전 문제 등이 포함된 배경 등에 대한 검증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