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日정부,후쿠시마 오염수 탱크 장기보관 방법 검토

등록 2019.05.13 12:49: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연간 약 5만~8만t씩 오염수 발생

희석 후 해양방출 주장도 여전히 제기돼

【오쿠마=AP/뉴시스】2016년 2월 10일 보호복을 입은 기자들이 후쿠시마현 오쿠마에 있는 도쿄전력 원전의 방사성 물질 오염수 저장시설을 살펴보고 있다. 2016.03.08

【오쿠마=AP/뉴시스】2016년  2월 10일 보호복을 입은 기자들이 후쿠시마현 오쿠마에 있는 도쿄전력 원전의 방사성 물질 오염수 저장시설을 살펴보고 있다. 2016.03.08


【서울=뉴시스】김혜경 기자 = 일본 정부가 동일본대지진으로 폭발사고를 일으킨 도쿄(東京)전력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의 오염수를 정화 처리한 '처리수'를 탱크에 장기보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13일 보도했다.

그러나 현재 후쿠시마 원전 부지 내 처리수를 보관하는 탱크는 100만t을 넘은 상황으로 향후 4~5년 내로 탱크를 보관할 원전 부지는 한계에 달할 전망으로, 처리수 처분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원자력규제위원회의 후케타 도요시(更田豊志) 위원장은 부지가 탱크들로 가득 차게되면, 원자로내에서 녹아내린 핵연료 찌꺼기를 꺼내는 폐로작업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하는 입장을 밝혔다.

이런 이유로 후케타 위원장은 처리수 처분 문제와 관련해 "오염수를 희석해서 해양에 방출하는 방법밖에 없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산업성 간부 등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오염수 처리 문제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는 신중론도 있어, 탱크에 장기보관하는 방법을 새로 검토하기 시작했다.  

오염수가 계속해서 발생하는 것은 동일본대지진의 영향으로 원자로 건물에 무수한 균열이 생기면서, 지하수가 원자로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원자로 내 유입된 지하수는 녹아내린 핵연료 찌꺼기에 접촉하면서 끊임없이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다. 연간 발생하는 오염수는 약 5만~8만t에 달한다고 한다. 

이에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지하수의 접근을 줄이기 위해 원자로 주변 땅 속을 동결하는 ‘동토차수벽’을 만들고, 원자로 주변으로 지하수가 유입되기 전에 이를 퍼 올리는 장치도 만들었다.

그 결과 폭발사고 직후 하루 400t 가량 유입되던 지하수는 현재 200t 전후까지 감소했다. 그러나 지하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또 남아있는 핵연료 찌꺼기를 식히기 위한 냉각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오염수 발생을 멈출 수는 없는 상황이다.

오염수 발생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도쿄전력은 오염수에서 세슘 등 방사능 물질을 제거하는 정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오염수 중에 포함된 트리튬(삼중수소)이라는 방사성 물질은 제거가 힘들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기준치 이하로 희석해 처분하면 트리튬이 사람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주장하며, 처리수를 해양에 방출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 처리 방법과 관련해 해양방출에 더해 ▲파이프라인으로 지하 지층에 주입하는 방안 ▲수증기화해 대기에 방출하거나 ▲시멘트 등으로 굳혀서 지하에 처분하는 방법, 그리고 ▲트리튬을 전기분해해 수소화해 대기에 방출하는 방법 등 5가지 방안을 고려해, 그 결과 해양방출이 가장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공표한 바 있다.

이에 더해 최근 경제산업성의 전문가 소위원회는 처리수 처분 문제와 관련해 탱크에 ‘장기보관’하는 방법을 새로 검토하게 됐다고 한다. 장기보관 방법은 탱크 보관 장소 확보 등이 과제로, 한 일본 정부 관계자는 "실질적 선택사항은 해양방출이나 대기 방출로 좁혀질 것"이라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마이니치는 해양방출의 경우 후쿠시마 연안 어업자들의 반대가 거세다고 지적했다. 특히 세계무역기구(WTO)가 최근 한국의 후쿠시마 주변산 8개 수산물의 수입금지를 인정한 상황에서, WTO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해양방출의 선택지를 택하기란 쉽지 않아 오염수 처리 방법을 둘러싼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