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임정고문 지낸 애국지사 김가진, 네번째 독립유공자 서훈심사

등록 2019.06.07 05:3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대한제국 대례복을 착용한 동농(東農) 김가진(1846~1922)의 모습. 김가진은 일제강점기 대동단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으로 활약했다. (사진= 뉴시스 DB)

【서울=뉴시스】대한제국 대례복을 착용한 동농(東農) 김가진(1846~1922)의 모습. 김가진은 일제강점기 대동단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으로 활약했다. (사진= 뉴시스 DB)

【세종=뉴시스】변해정 기자 = 상해임시정부의 고문을 지낸 동농(東農) 김가진(1846~1922) 선생에 대한 네 번째 독립유공자 서훈 심사가 7일 진행돼 관심이 모아진다.

관계당국과 동농의 후손 등에 따르면 국가보훈처 보훈심사위원회는 이날 동농을 독립유공자로 선정할 지 여부를 결정짓기 위한 공적심사를 벌인다.

동농에 대한 심사는 이번이 네 번째다.

동농의 손자인 김자동(92)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회장이 지난 1월 31일 보훈처에 독립유공자 포상신청서를 제출하면서 이뤄진 것이다.

동농은 대한제국에서 농상공부 대신을 지낸 개화파 관료다. 1910년 나라를 잃은 뒤 두문불출하다 3.1운동을 계기로 항일 비밀조직인 '조선민족대동단'을 결성하며 본격적인 독립운동에 나섰다.

일제의 삼엄한 감시 탓에 국내 활동에 한계를 느끼곤 상해로 망명했다. 동농은 고종의 다섯째 아들인 의친왕 이강을 상하이로 망명시키려다 실패한 '대동단 사건'을 일으킨다.

동농은 임시정부의 고문과 백야 김좌진 장군 휘하의 북로군정서 고문을 지내다 1922년 7월 상해에서 순국했다.

그의 장례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장(葬)으로 성대하게 치러졌다. 유해는 상하이 만국공묘(현 송경령 능원)에 안장됐지만 1960년대 중국 문화혁명기에 파괴돼 흔적을 찾을 수 없다. 동농이 독립유공자로 서훈만 된다면 우리 정부가 중국과 교섭해 유해를 찾아낼 수 있다는 게 후손 측 설명이다.

하지만 1995년 보훈처는 경술국치 때 일제가 대한제국의 고위관리 출신 76명에게 일제히 준 남작 작위를 받은 전력을 문제 삼아 동농의 독립유공자 서훈을 보류시켰다.

후손이 어렵게 자료를 모아 3년 뒤인 1998년 남작 작위를 거절하지 못했던 이유를 소명했지만 보훈처는 두번째 심사도 보류했다. 당시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벼슬을 버리고 항일운동에 나섰던 민종식 의병장(1861~1917)을 압송했다는 석연찮은 이유를 들었다.

후손은 2007년 전과후공(前過後功)의 경우 포상하는 원칙에 비춰 보더라도 동농이 독립유공자로 서훈돼야 한다고 세 번째 심사 신청을 냈지만 탈락시켰다. 

동농에 대한 보훈심사위의 네 번째 심사 결론은 30일 이내 나온다.

김 회장의 딸인 김선현씨는 "동농의 망명은 일제 통치에 대한 전면적인 거부였고 임시정부 고문으로서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독립에 대한 열망을 불태운 점을 인정해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국장'의 예우로 장례를 치른 것"이라며 "정부는 동농의 독립유공 서훈에 더이상 늑장 부려선 안된다. 아흔을 넘긴 아버지의 평생 소원인 유해 국내 봉환이 하루빨리 이뤄지길 소망한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