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북 김천서 H5형 AI 항원 검출…고병원성 판정까지 5일

등록 2019.10.25 18:59:4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경북에선 처음…농식품부, 이동통제·소독 등 방역

【창원=뉴시스】홍정명 기자=10일 경남도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방역 강화와 더불어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AI) 특별방역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야생조류 시료채취 모습.2019.10.10.(사진=경남도 제공) photo@newsis.com

【창원=뉴시스】홍정명 기자=10일 경남도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방역 강화와 더불어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AI) 특별방역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야생조류 시료채취 모습.2019.10.10.(사진=경남도 제공)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장서우 기자 = 25일 경북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H5형 조류 인플루엔자(AI) 항원이 검출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경북 김천시 감천면에서 지난 23일 채취한 야생 조류 분변에 대해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중간 검사를 벌인 결과 H5형 AI 항원이 나왔다고 이날 오후 알렸다.

AI는 닭, 칠면조, 오리 등 가금류에서 발생하는 급성 전염병을 말한다. 이론적으로 144개 유형의 바이러스가 존재하는데, H5형은 '고병원성'으로 발현될 가능성이 있어 강도 높은 방역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류된다.

AI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병원성 정도에 따라 저병원성과 고병원성으로 나뉜다. 고병원성은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 위험도가 높은 관리 대상 질병으로 지정하고 있어 발생 시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한다. 바이러스가 고병원성에 해당하는지 판정하기 까지는 5일 정도의 시간이 걸릴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AI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항원이 검출된 지점으로부터 반경 10㎞ 지역을 '야생조수류 예찰 지역'으로 설정했다. 당국은 해당 지역 내 가금과 사육 중인 조류에 대한 예찰·검사와 함께 이동을 통제했으며 소독 등 방역 조치를 취했다.

이밖에 철새 도래지와 인근 농가에 대한 차단 방역도 강화했다. 김천시에선 광역방제기 등 방역 차량을 총동원해 매일 소독을 진행 중이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