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지난해 4분기 대구 경제지표 대부분 하락

등록 2021.02.22 13:38: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생산·건설·소비 등 경제지표 전반 하락

무역 수입·출 줄고…소비자물가는 오르고

취업자 줄고 실업자 증가…대구인구, 순유출 많아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17일 대구 달서구 성서공단 곳곳에 '공장 임대'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0.03.17.lmy@newsis.com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17일 대구 달서구 성서공단 곳곳에 '공장 임대'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0.03.17. [email protected]


[대구=뉴시스] 김정화 기자 = 지난해 4분기 대구지역 실업자, 소비자물가 등은 증가했지만 경제지표 대부분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4분기 및 연간  대구 경제동향'에 따르면 대구지역 실업자 수는 증가로 전환했고, 소비자물가는 증가세가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 생산, 소매 판매, 건설수주, 수입은 감소로 전환했고 광공업생산, 수출, 취업자 수는 감소세가 지속했다. 인구는 순유출이 계속됐다.

생산·건설·소비 등 지표 전반 하락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17일 대구 달서구 성서공단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0.03.17.lmy@newsis.com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17일 대구 달서구 성서공단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0.03.17. [email protected]

지난해 4분기 대구지역 광공업생산지수는 95.4로 전년 동분기 101.9 대비 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장비(29.1%), 전기장비(7.7%), 의료정밀광학(3.8%) 등의 업종은 증가했다. 기타 기계 및 장비(22.5%), 섬유제품 (18.1%), 금속가공제품(17.1%) 등은 감소했다.

서비스업생산 지수는 107.7로 전년 같은 분기 109 대비 1.2% 감소했다.

부동산업(27.7%), 금융 및 보험업(12.6%), 수도·하수 및 폐기물 처리·원료 재생업(4.5%) 등은 늘었다.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21.8%), 운수 및 창고업(17.3%), 숙박 및 음식점업 (16.4%) 등은 줄었다.

대구지역 소매판매액지수는 102.4로 전년동분기 108 대비 5.2% 감소했다. 슈퍼마켓 잡화점 및 편의점(2.4%), 대형마트(1.3%) 등은 늘었지만 전문소매점(10.1%), 백화점(5%) 등은 줄었다.

건설수주액은 1조9370억원으로 전년동분기 2조6730억원 대비 27.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종별로는 토목은 160.5% 증가했지만 건축부문은 38.8% 감소했다. 발주자별로는 공공부문은 71% 증가했고 민간부문은 38.5%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무역 수입·출 감소…소비자물가는 상승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추석을 앞두고 9일 오전 대구 북구 매천동 대구 농수산물도매시장 내 청과물 경매장에서 상인들이 포도, 복숭아 등 과일 경매 상품을 살펴보고 있다. 2020.09.09.lmy@newsis.com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추석을 앞두고 9일 오전 대구 북구 매천동 대구 농수산물도매시장 내 청과물 경매장에서 상인들이 포도, 복숭아 등 과일 경매 상품을 살펴보고 있다. 2020.09.09. [email protected]

지난해 4분기 대구지역 수출액은 17억7500만달러로 전년동분기 19억2500만달러 대비 7.8% 감소했다.

전기장비(47.8%),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장비(16.6%), 자동차 및 트레일러(11.8%) 등은 늘었다. 섬유제품(27.5%), 기타 기계 및 장비(23.3%),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6.9%) 등에서 줄었다.

대구지역 수입액은 10억7200만달러로 전년동분기 11억8500만달러 대비 9.6% 줄었다.

자동차 및 트레일러(12.2%), 전기장비(10.3%), 기타 제품(6%) 등은 늘었다.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25.2%), 1차금속(16%), 기타 기계 및 장비(15.3%) 등은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소비자물가지수는 106.2로 전년동분기 105.9 대비 0.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6.6%), 통신(5.5%) 등은 하락했지만 식료품·비주류음료(6.8%), 기타 상품 및 서비스(2.2%) 등은 상승했다.

구입 빈도와 가격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쌀, 배추 등 141개 생활필수품을 대상으로 작성한 생활물가는 지난해 4분기 106.4로 전년동분기 106.6 대비 0.2%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 상품물가지수 104.3으로 전년동분기 103.5 대비 0.7% 상승했다. 석유류(14.1%), 출판물(1.3%) 등이 하락했고 농산물(12%), 축산물(8.8%) 등은 올랐다.

소비자 서비스물가지수는 107.9로 전년동분기 대비 변동 없었다. 외식제외 개인서비스(1.6%), 외식(0.7%) 등은 상승했고 공공서비스(3%)는 하락했다.

취업자 줄고 실업자 증가…달성군만 순유입 기록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18일 오후 대구 수성구 대구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들이 실업급여 신청 서류를 작성하고 있다. 센터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기가 불안정해지며 실업급여 신청이 증가 했다고 설명했다. 2020.03.18.lmy@newsis.com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18일 오후 대구 수성구 대구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들이 실업급여 신청 서류를 작성하고 있다. 센터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기가 불안정해지며 실업급여 신청이 증가 했다고 설명했다. 2020.03.18. [email protected]

지난해 4분기 대구지역 취업자 수는 120만6000명으로 전년동분기 121만8000명 대비 1만2000명 감소했다.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2만2000명), 전기·운수·통신·금융(7800명) 등은 늘었지만 광제조업(2만400명), 도소매·음식숙박업(1만900명) 등에서 감소했다.

실업자 수는 4만6000명으로 전년동분기 3만5000명 대비 1만1000명 증가한 것으로 기록됐다. 15세부터 29세(1900명), 30세부터 59세(7000명), 60세이상(2000명) 등 모든 연령대에서 늘었다.

지난해 4분기 대구지역 인구는 전입 인구보다 전출인구가 많아 7410명 순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대(2771명), 50대(1275명), 30대(1145명) 순으로 순유출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구·군별로는 달서구(4184명), 수성구(1354명), 동구(1110명) 순으로 순유출이 많았다. 지역 내에서는 달성군(796명)에서만 유일하게 순유입이 발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