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인천공항, 인니·폴란드 사업에 국내기업 동반 진출 추진

등록 2022.03.16 11:01:1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인니 롬복과 폴란드 신공항 추진…11조원

공사, 국내 기업과 '팀 코리아' 구성 계획

해외건설협회와 설명회…총 15개사 참석

[인천공항=뉴시스]홍찬선 기자 = 사진은 인천국제공항의 전경 모습. 2022.03.16.(사진=인천공항공사 제공) photo@newsis.com

[인천공항=뉴시스]홍찬선 기자 = 사진은 인천국제공항의 전경 모습. 2022.03.16.(사진=인천공항공사 제공)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홍찬선 기자 = 인천국제공항이 인도네시아와 폴란드 등 해외공항사업 발주와 관련해 국내 기업과 해외사업 동반진출을 추진한다.

인천공항공사는 16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해외건설협회와 공동으로 '인도네시아·폴란드 해외공항사업 동반진출을 위한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공사는 이번 설명회를 통해 해외공항사업 분야에 국내 우수기업과의 협업관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공사가 검토 중인 해외사업은 인도네시아 롬복공항 투자개발(PPP)사업과 폴란드 신공항 사업이다. 공사는 이번 설명회를 통해 국내 우수기업과 함께 '팀 코리아(Team Korea)'를 구성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공사는 이번 설명회를 통해 해외공항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참여 방안 및 향후 일정 등을 공유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국내 유수의 건설 엔지니어링 업체 및 금융기관 동 총 15개사가 참석할 예정이다.

공사가 사업 추진을 계획 중인 인니와 폴란드 사업의 사업비는 총 11조원 규모로 공사가 사업을 수주해 국내기업과 동반진출할 경우 약 1100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와 공항 설계·건설·운영 분야에서 고용창출 발생효과도 기대된다.

인니 롬복공항 투자개발 사업은 30년간 이 공항의 운영을 포함해 공항시설 확장 및 배후도시 개발을 진행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는 약 8600억원 규모이다.

또한 폴란드 신공항 사업은 폴란드의 관문공항인 바르샤바 쇼팽 공항을 대체할 신공항 건설(2027년 개항 목표)과 철도 및 배후도시 개발을 포함하는 대규모 복합운송허브 개발 사업으로, 총 사업비는 약 10조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현재 코로나19 상황 등에 따라 사업은 유동적이지만 인니 롬복공항 사업은 사전적격심사(PQ) 통과 후 입찰 참여를 준비 중이며, 폴란드 신공항 사업은 올해 말 투자구조가 구체화될 전망이다.

김경욱 공사 사장은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해 동남아, 동유럽, 중동 등 신흥국을 중심으로 해외공항 개발사업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라며 "국내 우수 기업과 드림팀을 구성해 세계적인 노하우를 보유한 '한국형 공항플랫폼(K-Airport)'을 해외 각지로 수출해 국가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