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보은군 대추 시설농가 고온 피해…올해도 작황 부진 우려

등록 2024.05.12 10:25: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이상고온에 내부 온도 50도↑…새순 말라죽어

[보은=뉴시스] 안성수 기자 = 충북 보은군 대추 시설재배 농가 내 고온 피해를 본 대추나무 모습. (사진=충북도 제공) 2024.5.1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보은=뉴시스] 안성수 기자 = 충북 보은군 대추 시설재배 농가 내 고온 피해를 본 대추나무 모습. (사진=충북도 제공) 2024.5.12.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보은=뉴시스] 안성수 기자 = 충북 보은군 대추 시설 농가에서 고온 피해가 잇따라 발생해 재배 관리에 주의가 요구된다.

12일 충북도 등에 따르면 최근 보은군 대추 시설재배 농가 5곳에서 발아된 잎줄기가 말라죽는 피해가 발생했다.

이상 고온으로 밀폐된 시설 내부 온도가 50도 이상으로 오른 탓이다. 지난달 낮 최고기온은 여름철과 비슷한 28도에 육박했다. 비료를 살포한 곳에서는 가스 피해로 새순이나 잎끝이 마르는 피해가 접수됐다.

보은군 대추 농가는 재배 면적의 39%를 시설재배로 운영하고 있다. 밀폐형 시설을 이용해 대추 개화 시기를 앞당겨 장마 시기를 피하기 위함이다. 

최근 몇 년간 보은군 대추 농가는 자연재해로 인한 작황 부진에 몸살을 앓았다.

지난 2019년 역대 가장 많은 생산량(2663t)을 보였으나 2022년에는 절반도 못 미치는 1147t을 수확했다. 지난해에는 장마 기간과 개화시기가 겹쳐 착화와 수정을 거쳐야 할 시기에 800㎜가량의 비가 쏟아졌다. 생산량은 1000여t에 불과했다.

올해는 낮 기온이 높아 지난해 대비 이른 개화가 예상된다. 다만 일교차가 큰 만큼 밀폐형 시설 재배 농가의 철저한 시설 관리가 요구된다.

밀폐형 시설 재배 농가는 대추의 생육적 온도인 25~30도를 유지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맑은 날에는 창을 열어 온도를 환기를 해주고, 밑거름 비료는 되도록 낙엽 후부터 이른 봄까지 살포해야 한다.

도 관계자는 "올해 워낙 날씨가 덥다 보니 발생한 사례로 다른 농가도 영향을 받지 않을 보장이 없다"면서 "영양생장 기간이 짧아 잎줄기 길이도 짧아져 작황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철저한 관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