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충주·천안서 올해 첫 과수화상병 발생…사과·배 과수농가 긴장

등록 2024.05.14 10:20:00수정 2024.05.14 13:45:4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농진청, 과수원 0.9㏊ 피해…긴급 방제·차단 총력

확산 방지 위해 현장 진단실·특별 방제기간 운영

[안동=뉴시스] 과수화상병 예방 약제 살포 장면. (사진=경북도 제공) 2024.04.16 *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뉴시스] 과수화상병 예방 약제 살포 장면. (사진=경북도 제공) 2024.04.16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충청북도 충주와 충청남도 천안에서 올해 첫 과수화상병 확진 사례가 나오면서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따뜻해진 날씨에 과수화상병이 확산할 수 있는 만큼 긴급 방제작업을 추진하고 향후 확산 차단에 총력전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충북 충주 소재 사과 과수원과 충남 천안 소재 배 과수원에서 과수화상병이 발생했다고 14일 밝혔다. 두 과수원의 합산 피해면적은 0.9헥타르(㏊)다.

정부는 각 도 농업기술원, 시군농업기술센터 등 관계기관과 농가가 협력해 긴급 방제작업에 나섰다. 또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해 오는 17일까지 발생지 주변 2㎞ 이내 전 과수원을 대상으로 철저한 예방관찰(예찰)을 벌인다는 계획이다.

농진청은 과수화상병 확산을 대비한 조치로 ▲현장 진단실 신규 설치 ▲특별방제 기간 운영 ▲신규 발생지역 현지 대책본부 운영 ▲묘목 이력관리제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미 과수화상병 첫 발생과 동시에 경기도농업기술원과 충주시농업기술센터 2개소에 현장 진단실을 설치했으며 향후 인근 지역에서 과수화상병 의심 증상이 신고되면 당일 현장 진단과 상황별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또 '2024년 과수화상병 특별방제 기간'을 오는 7월31일까지 운영하고 겨울철 궤양을 제거한 과수원 주변 등 발생 위험이 큰 지역을 집중적으로 예찰하고, 과수농가의 자가 예찰과 신고를 독려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과수화상병 발생 이력이 없던 지역에서 신규로 병이 발생한 경우 빠른 방제 지원을 위해 현지 대책본부를 운영하기로 했다. 대책본부엔 농촌진흥청과 도 농업기술원의 과수화상병 전문가를 파견해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이와함께 묘목을 매개로 한 원거리 감염 위험에 대비해 국립종자원과 전국 묘목장 예찰을 강화하고 종자산업법 개정으로 과수 묘목 생산·판매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건전한 묘목의 생산·유통을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사과·배 재배 농가에서도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과수화상병 의심 증상을 발견하면 즉시 농업기술센터 또는 대표 신고 전화로 연락해달라"고 당부했다.
강원도 양구군에서 처음으로 사과 과수원 2곳에서 과수 화상병이 확인됐다.(사진=농촌진흥청) *재판매 및 DB 금지

강원도 양구군에서 처음으로 사과 과수원 2곳에서 과수 화상병이 확인됐다.(사진=농촌진흥청)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