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우기수 경남도의원 "부산-경남 행정통합 적극 추진하라"

등록 2024.05.14 23:05:5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413회 임시회 1차본회의서 5분 자유발언 통해 촉구

시·도민 공감대 형성, 행정통합 특별법 제정 등 주문

[창원=뉴시스] 우기수 경남도의원이 14일 오후 열린 제413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부산-경남의 행정통합 적극 추진을 촉구하고 있다.(사진=경남도의회 제공) 2024.05.14. photo@newsis.com

[창원=뉴시스] 우기수 경남도의원이 14일 오후 열린 제413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부산-경남의 행정통합 적극 추진을 촉구하고 있다.(사진=경남도의회 제공) 2024.05.14. [email protected]

[창원=뉴시스] 홍정명 기자 = 경남도의회 우기수(창녕2·국민의힘) 도의원이 부산과 경남의 행정통합을 촉구했다.

우 의원은 14일 오후 열린 제413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지역소멸을 막고, 수도권 일극체제 대응과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 부산-경남 행정통합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경남 행정통합은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취임 이후 전임 김경수 지사가 추진하던 '부울경 특별연합' 대신에 제안한 것으로, 부산광역시가 동의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그러나 지난해 5~6월 실시한 양 시·도민 대상 여론조사 결과 69.4%가 '들어본 적 없다'고 답했고, 찬성 35,6%, 반대 45.6%로 나와 추진 동력이 약화되었다.

부정적 여론조사 결과에도 박완수 경남도지사와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경남 협력 확대를 통해 자연스럽게 행정통합 공감 분위기가 형성되면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히며, 행정통합 의지를 접지는 않았다.

우기수 도의원은 "지방의 인구감소와 대도시로의 인구집중에 따른 메가시티는 전 세계적인 추세다"면서 "부산과 경남이 통합되면 인구 650만여 명에 지역 내 총생산 200조 원에 달하는 초광역 자치단체가 탄생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산과 경남은 1963년 부산이 직할시로 승격되어 분리되기 이전부에는 '경상남도'라는 같은 뿌리였기 때문에 공동체적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면서 "경남-부산-울산을 잇는 광역철도가 현재 추진 중이고,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2024년 말 개통 예정이어서 향후 1시간 생활권의 메가시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행정통합 추진 과제로 ▲시·도민들의 공감대 형성 ▲행정통합 특별법 제정 ▲부산시를 비롯한 관할 기초자치단체와의 합의와 협력체계 구축 ▲시·도의회 및 지역 국회의원들의 적극적인 지지 ▲울산까지 포함하는 행정통합 추진을 제시했다.

우 의원은 "경남도는 지역의 생존과 미래 세대를 위해 부산-경남 행정통합을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