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나경원 "전당대회 룰, 당원 생각 더 반영되는 쪽으로 가야"

등록 2024.05.16 12:56:16수정 2024.05.16 15:2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특별히 몇%가 좋다 비율 얘기하는 건 맞지 않다"

출마 질문에 "당 미래·개혁·재집권 플랜 고민 있다"

민주 우원식 의장 후보 선출에 "명심이라면 우려"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 나경원 당선인, 윤창현 의원 등 참석자들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저출산과 연금개혁 세미나'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2024.05.16. 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 나경원 당선인, 윤창현 의원 등 참석자들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저출산과 연금개혁 세미나'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2024.05.1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재우 최영서 기자 = 나경원 국민의힘 당선인은 16일 당대표 선출 규정 개정과 관련해 "당원 생각이 조금 더 반영되는 쪽으로 가야지 않냐"는 입장을 내놨다.

나 당선인은 이날 국회에서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저출산과 연금개혁' 세미나를 주최한 뒤 기자들과 만나 '전당대회 룰에 민심을 더 반영해야 된다는 말이 나온다'는 질문을 받고 "제가 비율이 몇%가 좋다고 얘기하는건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을 아꼈다.

이어 "민심을 반영하게 된 것은 박근혜 당대표 시절이다. 17대때 처음 도입했다"며 "당대표 선거에 있어서 민심을 반영하는 것은 당심과 민심이 너무 다르지 않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민심을 조금이라도 반영하자는 거였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민심을 조금씩 반영하는게 공직 후보자하고 당대표 전당대회가 있는데 공직후보자는 밖에 나가서 선거하니까 조금 더 높게 반영한다면 전당대회는 그것보다는 당원 생각이 조금 더 반영되는 쪽으로 가야지 않느냐 정도 생각만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 특별히 10%가 좋다 20%가 좋다 30%가 좋다는 얘기를 제가 할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비상대책위원회가 실질적으로 당 미래에 대해 가장 고민을 많이 하고 있으니까 비대위 중심으로 건설적 논의가 될 거고 거기서 충분히 좋은 결론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나 당선인은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출마에 대해서는 "출마 원하는 분들은 누구나 출마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런 것에 대해서 결국 당원들이 판단하는 게 아닐까. 어떤 분은 출마하라 말라 얘기하는 거 맞지 않다"고도 말했다.

이어 "어떤 분이 당을 이끌어 가는 게 맞겠냐에 대한 논의가 되는 장이 전당대회 아니냐"며 "이 분 출마가 맞다 틀리다 얘기는 제가 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나 당선인은 지난 14일 수도권 낙선자들과 만찬을 주재한 것이 전당대회 출마를 위한 세 결집이라는 해석에는 말을 아꼈다.

그는 "제가 뭘하든 당권하고 (연계해서) 말씀하신다. 솔직한 답변인데 지금 우리 당이 앞으로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 되느냐는 것에 고민이 많다"며 "재집권 플랜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 고민도 있다. 당의 개혁은 어떻게 돼야 되는지 고민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낙선자뿐 아니라 당선자들과도 가끔 만나기도 하고 말씀을 듣기도 하는데 그런 과정이 여러분들의 의견을 제 의견하고 같이 공유하는 과정이다. 일일이 밥 먹는 거까지도 당권하고 연결시키니 밥도 못 먹겠다"고 했다.

나 당선인은 '제22대 국회 상반기 국회 부의장 출마를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제가 뭐 할지는 아직 결정 못했다"고 답했다.

그는 '민주당이 제22대 국회 상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우원식 의원을 선출한 것에 대해서는 "이재명 대표의 민주당이 그간 너무나 이 대표 일당체제의 모습을 보여준 것에 대해서 굉장히 우려가 컸다"고 말했다.

이어 "우원식 후보도 오늘 아침 이 대표 마음이 본인에게 있다고 했기 때문에 명심이 어디 있었는지 마지막에는 모르겠지만 이 대표가 결정하는 식의 의장이 아니었다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며 "정말 명심이 마지막에 우원식 후보로 가서 결정된 거라면 더 큰 우려가 있다"고 했다.

나 당선인은 "개인적으로는 의회 역사상 여성 국회의장이 한명도 없었기 때문에 추미애 의장이 된다면 또 의미가 있겠구나는 생각은 해봤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어 "이재명 민주당이 그간 원내대표 선출 이런 부분에서 민주적 방식이 이뤄지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우려가 크다"며 "결국 의회 민주주의 복원을 위해서 정당민주주의가 복원돼야하는 데 그런 부분이 사실상 말살된 민주당과 무엇을 할 수 있나 고민이 많았다"고 했다.

나 당선인은 세미나에 대해 "미래세대가 연금을 신뢰할 수 있게 만드는 게 중요하다. 그게 결국 연금의 지속 가능성"이라고 설영했다.

이어 "저출산으로 인해 연금에 대한 불신이 생겼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출산율 제고와 연금을 연계하자. 아이가 자산에서 부채가 됐는데 다시 자산이 될 수 있도록 출산과 양육을 하는 분에겐 연금에 있어 혜택을 주자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현재 크레디트을 유지한다면 출산육아 크레디트로 출산 또는 양육 크레디트로 이름을 바꾸고 실질적으로 1년이 아니라 출산과 양육 기간을 생각해서 적어도 10년 정도 크레디트를 주고, 기초노령연금에서 출산과 육아한 세대에게는 일정부분 차등 지급하는 걸 고민하자는 게 세미나 핵심"이라고도 설명했다.

나 당선인이 주최한 세미나에는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 유상범·엄태영·전주혜·김용태 비대위원, 정점식 정책위의장, 장동혁 의원 등 국민의힘 현역 의원과 제22대 국회 당선인 다수가 참석했다.

그는 "22대 국회에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가 연금개혁이라고 생각한다"며 "관심 있는 주제라 많이들 참석해 주셨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