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토종 의료AI 위력…"4분만에 파킨슨병 바이오마커 습득"

등록 2024.05.20 15:43:43수정 2024.05.20 18:24:5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휴런, 세계 최대 MRI학회서 '파이널리스트' 선정

파킨슨병 진단법 개선 위한 새로운 솔루션 제안

[서울=뉴시스] 20일 뇌신경 질환 전문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휴런이 싱가포르에서 열린 국제자기공명의과학회(ISMRM) 챌린지에서 파이널리스트에 올랐다고 밝혔다. (사진=휴런 제공) 2024.05.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20일 뇌신경 질환 전문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휴런이 싱가포르에서 열린 국제자기공명의과학회(ISMRM) 챌린지에서 파이널리스트에 올랐다고 밝혔다. (사진=휴런 제공) 2024.05.20.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뇌신경 질환 전문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휴런이 싱가포르에서 열린 국제자기공명의과학회(ISMRM) 챌린지에서 파이널리스트에 올랐다.

ISMRM는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국제 MRI 학회로, 매년 다양한 국적의 의료진 및 연구자 수백 명이 모여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MRI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회다.

휴런 연구진(고성민·허환·이아름·조정원)은 2024 ISMRM에서 3D 멀티 에코 GRE 시퀀스를 이용한 뉴로멜라닌 및 나이그로좀1 영상 동시 분석연구를 통해 파킨슨병 부문 챌린지 파이널리스트로 선정됐다.

ISMRM 챌린지는 총 여섯 가지 부문에 대해 전 세계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과제를 부여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파이널리스트를 선정하는 프로그램이다. 휴런은 국내 최초로 ISMRM 챌린지 파이널리스트에 이름을 올리며 전세계 의료진과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구연 발표를 진행했다.

휴런은 이번 챌린지에서 약 4분의 단시간 MRI 촬영을 통해 뉴로멜라닌과 나이그로좀1 영상을 동시에 습득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특히나 휴런 솔루션은 습득한 영상에서 뉴로멜라닌과 나이그로좀1 영역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정량화해 분석 결과를 제공했다.

뉴로멜라닌과 나이그로좀1은 파킨슨 병의 진단할 때 사용되는 주요 바이오 마커다. 흔히 뉴로멜라닌과 나이그로좀1 영역의 변화를 분석해 파킨슨병 및 파킨슨 증후군의 여부와 병의 진행 정도를 알 수 있다. 이번 챌린지에서는 이 두 영역을 이용해 현재의 파킨슨 병 진단법을 개선하는 솔루션이 과제로 출제됐다.

일반적으로 뉴로멜라닌과 나이그로좀1의 MRI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각각의 촬영이 따로 필요하고 총촬영 시간은 10분 이상 소요된다. 하지만 해당 연구에서는 두 가지 영상을 한 번의 촬영만으로 습득하며 촬영 시간을 5분 미만으로 줄였다는 점, 기존의 기법과는 달리 모든 MRI 벤더(vendor) 장비에서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 제품의 성능을 나타내는 민감도·특이도가 각각 90.9%, 94.4%에 달했다는 점 등에서 그 의의를 인정받았다.

신동훈 휴런 대표는 "휴런의 세계적인 기술력을 공신력 있는 학회의 챌린지를 통해 다시 한번 입증할 수 있어 기쁘다"며 "무엇보다 우리나라 의료AI의 수준을 전 세계로 알릴 수 있는 기회였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휴런이 의료AI 분야를 선도해나가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위한 최선의 투자를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