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지능형 CCTV가 산불·화재 자동 인식…6개 지자체서 추진

등록 2024.05.21 12:00:00수정 2024.05.21 15:26: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CCTV 지능형 영상분석 실증사업 지자체 선정

범죄부터 화재·산불까지 잡아내는 CCTV 구현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지난해 11월26일 서울 시내 거리에 CCTV가 설치되어 있다. 2023.11.26.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지난해 11월26일 서울 시내 거리에 CCTV가 설치되어 있다. 2023.11.26.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각 지역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가 산불과 화재 위험 등 위험상황을 감지해서 알리는 기술의 실증사업이 6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된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지자체 CCTV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 실증사업을 적용할 6개 지자체를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선정된 6개 지자체는 충북 청주시, 부산 동래구, 서울 서대문구, 서울 광진구, 경기 파주시, 대구 군위군이다.

이번 실증사업은 행안부가 2027년까지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 CCTV 관제체계를 지능형으로 고도화하기 위한 준비단계다.

민·관 협력 컨소시엄이 참여해 CCTV 지능형 관제기술을 다양한 현장에 적용해보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사업은 6개 기본유형에 대한 영상분석 기술을 지자체에 시범 적용하는 과제와 지역 특성에 맞게 특정 재난안전 유형에 대한 영상분석 기술을 개발·실증해보는 과제로 나뉘며 총 25억원이 투입된다.

행안부는 지자체에서 지능형 관제 활용률이 높은 6개 재난 분야를 기본 유형으로 선정하고 제조사별로 다른 관제기술 등을 표준화하기 위한 연구개발(R&D)을 지난해 8월부터 추진했다.

이에 대한 성과물을 충북 청주시와 부산 동래구에 시범 적용해 전국 확산이 가능할지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우선 서울 서대문구는 차량 탑재형 이동형 인공지능(AI) CCTV 선별관제 기술을 구현하고 실증할 예정이다. CCTV를 통해 수집된 영상을 분석해 불법주정차, 화재 등 재난 상황을 선별하고 해당 이미지를 관제센터에 전송하게 된다.

서울 광진구는 관제 인원이 부족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인간의 방식과 유사하게 상황을 학습·처리하는 인공지능 기술인 '멀티모달 인공지능(AI)' 기술을 CCTV에 적용한다. 이를 통해 밀집 상황, 주·야간 범죄, 화재·산불 등 이상 상황에 대한 지능형 관제 효율을 높일 방침이다.

경기 파주시는 기존 데이터의 패턴과 구조를 학습한 다음 비슷한 특징이 있는 새로운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인공지능 기술인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할 계획이다. 지역 특성을 고려해 실종, 침수, 화재 분야를 중심으로 생성형 AI 기술을 CCTV에 적용한다. 

대구 군위군은 산불 위험이 높은 지리적 특성과 산불 대응 인프라가 열악한 상황임을 고려해 산불 탐지와 산불 발생지 예측에 지능형 CCTV를 활용하기로 했다.

산불과 관련한 풍부한 데이터를 학습한 지능형 관제시스템이 고화질(4K) 카메라를 통해 수집한 불꽃, 연기 등 정보를 분석해 산불 발생지의 위치 정보를 알리게 된다.

이번에 선정된 6개 지자체는 이달까지 행정 절차를 마무리하고 다음 달부터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하게 된다.

행안부는 학계·산업계의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구성해 컨설팅, 현장방문 등으로 과제 수행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이한경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부는 이번 실증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지자체의 CCTV 관제체계를 지능형으로 고도화해나갈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지자체의 재난관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