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엔플러스, 아람코 자회사와 2차전지 JV 설립 추진

등록 2024.05.22 16:03:1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좌)칼라프 마사에드(Khalaf Masaeed) GCC Lab 부사장, 안영민 이엔플러스 사장 (사진=이엔플러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좌)칼라프 마사에드(Khalaf Masaeed) GCC Lab 부사장, 안영민 이엔플러스 사장 (사진=이엔플러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배요한 기자 = 이엔플러스가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의 자회사 'GCC Lab'과 글로벌 2차전지 합작법인(JV) 설립에 나선다.

이엔플러스는 GCC Lab과 합작법인 설립을 전제로 한 '2차전지 및 최신기술 배터리 연구개발·공급' 목적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르면 양사는 공동 출자해 연내 사우디 현지에 드라이전극 전문 연구소 법인을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이엔플러스는 2차전지 전문 연구 인력과 관련 기술력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신설되는 연구소는 사우디 현지에서 드라이 전극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차세대 2차전지 제품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진행할 계획이다. 프로토타입 제품 개발 이후 추가 투자를 단행해 현지에 대규모 양산 시설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GCC Lab은 아람코를 비롯해 사우디 전력청(Saudi Electricity Company), 사우디 공공투자기금(PIF) 등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기관이다. 사우디 담맘(Dammam) 지역에 약 17만㎡에 달하는 대규모 에너지 연구소 단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기·전력제품에 대한 국제 성능인증과 시험·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이엔플러스는 업계 유일 양극(NCM·LFP)과 음극용 드라이전극 양산 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건식 공정으로 제조되는 드라이전극은 품질 향상, 원가 절감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2차전지의 에너지밀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제조 과정 중 '건조 공정'의 생략과 원재료 사용량을 대폭 줄여주기 때문이다.

이엔플러스 관계자는 "드라이전극은 전기차와 ESS 등 모든 배터리 제조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기 때문에 에너지 분야에 관심이 많은 사우디 측 기관과 많은 논의를 가져왔다"며 "회사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받아 글로벌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이번에 합작법인을 설립키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연구소 개설 이후 프로토타입 개발까지는 최소 반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짧지 않은 기간이지만, 향후 본격적으로 양산 단계까지 진입하면 이엔플러스의 강력한 글로벌 거점 기지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6월 아람코는 독일에서 개최된 유럽 최대 배터리 전시회 '더 배터리쇼 유럽' 현장에서 이엔플러스의 부스를 방문한 바 있다. 당시 아람코는 이엔플러스가 개발한 다양한 제품들에 많은 관심을 표했으며, 특히 드라이전극 등에 가장 많은 문의가 있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