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수원 3.1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 출범

등록 2018.01.24 18:00: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수원=뉴시스】김경호 기자= 경기 ‘수원시 3.1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가 24일 수원시청 중회의실에서 출범식 뒤 추진위원, 고문·자문위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18.01.24(사진= 수원시 제공) photo@newsis.com

【수원=뉴시스】김경호 기자= 경기 ‘수원시 3.1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가 24일 수원시청 중회의실에서 출범식 뒤 추진위원, 고문·자문위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18.01.24(사진= 수원시 제공) [email protected]

【수원=뉴시스】김경호 기자= 경기 ‘수원시 3·1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가 출범했다.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는 24일 수원시청 중회의실에서 출범식을 열고, 염태영 수원시장, 박환 수원대 교수를 공동위원장으로 선출했다. 또 추진위원 100명을 위촉했다. 추진위원회는 수원시민 추진단과 추진위원, 고문·자문위원으로 이뤄진다.
 
 시민추진단은 수원에 거주하거나 수원과 관련이 있는(학교·직장 등) 모든 사람이 가입할 수 있다.

 시민추진단은 추진위원회에 여는 각종 행사, 학술대회 등에 참여할 수 있다. 추진위원은 학계·종교계·언론계 인사와 사회·시민단체 대표, 수원시 공무원, 시의원 등으로 구성됐다.

 시는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00주년(1919년)을 앞두고 수원지역 독립운동 역사와 독립운동가의 발자취를 재조명하고, 널리 알리기 위해 기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추진위원회는 2019년까지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주제로 역사교육을 하고, 수원지역 독립운동 인물·3·1운동 콘텐츠를 발굴하는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또 ▲3·1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특강 ▲수원지역 출신 독립운동가 항일 유적지 답사 ▲청소년 역사 대토론회 ▲3·1운동 독립운동가 거리 조성 ▲기념조형물 건립 등 다양한 기념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추진위원회는 출범선언문에서 “3·1운동 당시 전국적으로 가장 격렬한 만세시위를 펼치고, 가장 많은 피해를 본 곳이 수원지역(수원·화성·오산)이었다”면서 “그 자랑스러운 역사와 전통은 우리의 정체성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이어 “3·1 정신을 계승하고, 새로운 통일한국을 준비하기 위해 수원시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사업을 펼치고자 한다”면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지역 정체성을 확립하고 후손들을 위한 또 다른 100년을 준비하자”고 말했다.

 염태영 시장은 “수원은 전국에서 가장 뜨겁게 독립 의지를 불태우며 3·1운동을 전국으로 퍼뜨리는 거점 역할을 했다”면서 “1919년 수원이 3·1운동의 거점이 됐던 것처럼, 2019년에도 3·1운동의 정신과 가치를 전국으로 퍼뜨리는 역할은 마땅히 수원이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이 수원의 과거와 미래를 성찰하고, 사회통합과 성숙한 시민의식 형성에 이바지하는 사업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기념사업추진위원회는 2017년 8월부터 3차례 공식회의와 10여 차례 실무회의를 열며 출범을 준비했다. 지난해 12월 19일에는 기념사업 추진 준비위원회 발족식을 열었고, 1월 1일에는 기념사업 선포식을 개최한 바 있다. 추진위원회는 오는 3월 1일 수원역에서 3·1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99주년 기념식을 열 예정이다.

 수원은 평안북도 의주, 황해도 수안과 더불어 3·1운동의 3대 항쟁지로 알려져 있다. 1919년 3월 1일 방화수류정 부근에서 시작된 수원의 3·1운동은 종교계, 농민, 상인, 학생, 노동자, 기생 등 모든 계층이 참여한 시민 저항운동이었다.

 수원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로는 이하영(1870~1952) 목사, 필동 임면수 선생(1874~1930), 김세환(1888~1945), 김향화(1897~?), 이선경(1902~1921) 등이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