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남북정상회담 D-1]文대통령·김정은 '비핵화 여정' 눈앞에

등록 2018.04.26 06:26: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김태규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는 27일 본격적인 '비핵화 여정'을 시작한다. 남북 정상이 11년 만에 마주하는 이번 정상회담의 진정한 의미는 남북이 비핵화를 향한 진전된 첫 걸음을 함께 떼는 데 있다.

 각론으로 들어가면 진정한 비핵화 합의는 북한과 미국이 풀어야 할 숙제이지만, 선행되는 남북 정상회담이 물꼬를 틀 수 있다는 점에서 비핵화의 여정이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 대통령이 남북→북미→남북미 정상회담 순으로 대화를 밟아나갈 필요가 있다고 거듭 강조하는 것도 '한반도 비핵화'라는 대전제 위에서 그리는 평화체제 로드맵의 일환이다. 남북 정상회담 3대 의제 가운데 한반도 비핵화가 맨 앞에 위치하고 있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21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소집하고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중단한다는 내용을 담은 결정서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북한의 이러한 선제적 핵동결 조치 뒤에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 지명자 겸 중앙정보국(CIA) 국장의 방북 때 상응하는 보상책에 대한 일종의 합의가 이뤄졌을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지난 21일 'JTBC 뉴스룸'에 출연해 "폼페이오 방북 과정에서 북한이 이런 행동을 하면 북미 정상회담 때 트럼프 대통령이 뭔가 큰 것을 약속해 준다고 하는 소위 합의가 있었기 때문에 이렇게 행동을 했다고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만남은 판문점에서 이뤄진다는 점에 있어서 앞선 두 차례의 정상회담과 큰 차이가 있다.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 대통령이 염원했던 정상회담 정례화를 기대하고 이유도 여기에 있다.

 남북은 그동안 한 차례의 고위급 회담(3월29일)과 3차례의 실무회담(5일·18일·23일)을 통해 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의제·경호·의전·보도 분야의 준비사항을 논의했다. 이 과정에서 남북 정상간 핫라인 시범통화를 비롯해 두 정상의 만남 순간부터 생중계하기로 합의했다.

 남북 정상회담 준비위원회는 지난 24일 위원장을 맡고 있는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의 리허설을 한 데 이어 25일 남북 실무준비단이 합동리허설을 열고 정상회담 시나리오에 맞춰 최종 점검했다. 26일은 남측 공식수행원 6명이 최종 리허설을 갖고 마지막 점검에 나섰다.

 북미 정상회담의 길잡이 역할을 강조한 문 대통령의 시선은 이미 '포스트 남북 정상회담'에 닿아있다. 남북 정상회담을 사흘 앞둔 24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워싱턴으로 급파해 5월 중순 한미 정상회담 성사를 타진했다.

 5월 말 혹은 6월 초로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 전에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남북 정상회담의 성과를 공유한다는 게 문 대통령의 구상이다.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종전 선언을 이끌어내고, 북미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합의를 이루며, 남북미 3국 정상회담에서 평화협정을 체결한다는 이른바 '3단계 로드맵' 구상을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소개하고 미국의 역할을 강조할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남북 정상회담에서 끝나는 게 아니고 북미 정상회담까지 성공적으로 개최를 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한미 간 긴밀하게 협의를 진행해 나가야 될 것이고 그 과정에서 (한미 정상회담이) 상호간 이해 높이는 과정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