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4만9천여 자생생물 정보 누리집서 공개

등록 2018.07.01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세종=뉴시스】자생생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까치'를 검색했을 때 화면. 2018.07.01.(사진 = 국립생물자원관 제공)photo@newsis.com

【세종=뉴시스】자생생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까치'를 검색했을 때 화면. 2018.07.01.(사진 = 국립생물자원관 제공)[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임재희 기자 = 우리나라 자생생물 4만9027종의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2일부터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www.kbr.go.kr)'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누리집에 공개된다.

 2007년 개관 이후 신종·미기록종 등이 담긴 '국가생물종목록'을 매년 연말 발표하고 있는 국립생물자원관은 기존 4만7003종에 지난해 국가생물종목록에 오르 2024종의 분류군, 국명 및 학명, 명명자, 명명년도 등을 추가해 공개한다고 1일 밝혔다.

 생물의 국명 혹은 학명은 물론, 동일한 종에 부여되는 정명과 이명(발표 순서가 빠르면 정명, 시기가 늦거나 사용되지 않는 학명은 이명)을 검색창에 넣어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4만9027종의 목록을 담은 '국가생물종목록'과 2016년에 발표한 종목록 4만7003종의 정보는 '목록 변경 현황' 이름의 엑셀파일로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국가생물종목록은 생물학자 등이 연구자료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전자출판 서비스도 올해 안으로 개발을 끝내고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서식지, 형태, 생태정보 등과 함께 국립생물자원관이 보유한 표본의 위치 및 유전 정보, 사진 및 영상 등은 정보를 취합해 갱신한다.

 국립생물자원관이 관리하는 국가생물종목록 데이터베이스는 '한국형 생물종목록 연번체계(이하 KTSN)'를 사용하고 있어 상위분류군, 학명, 국명, 향명(민간에서 예전부터 불러온 이름) 및 특수명 등에 관리를 위해 부여한 고유번호이며, 원칙적으로 한번 부여한 번호는 변경되지 않는다.

 부처 및 기관별로 각기 다른 체계의 생물자원 관리목록을 보유하고 있어 생물자원 정보통합이 어려우나 KTSN으로 공유하여 관리하면 국가생물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KTSN을 기준으로 타기관의 시스템과 종목록을 공유할 수 있도록 누구나 실시간 정보접근이 가능한 오픈에이피아이(이하 OpenAPI)로 제공할 예정이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국가생물종목록 데이터베이스가 국내 연구기관의 생물다양성 정보시스템 간 정보 공유의 기준이 되고 있다"며 "나고야의정서의 발효로 더욱 중요해진 생물주권 확보에도 꼭 필요한 정보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