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해양경찰청 해상사망사고 절반으로 줄인다

등록 2019.11.18 10:51:29수정 2019.11.18 11:39:2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해양경찰 재출범 2주년,‘스마트 해양경찰’로 도약

"국민의 생명·재산 지키는 것은 해경의 '숙명'

【인천=뉴시스】정일형 기자=야간, 악천후 대규모 해양사고 발생 시 다수 인명구조를 위한 '다목적용 대형헬기'(해양경찰청 제공)

【인천=뉴시스】정일형 기자=야간, 악천후 대규모 해양사고 발생 시 다수 인명구조를 위한 '다목적용 대형헬기'(해양경찰청 제공)

【인천=뉴시스】정일형 기자 = 해양경찰청이 정부 출범 2년반만에 '스마트 해양경찰'로 도약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해경은 '해상 사망사고를 절반으로 줄인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성과 창출에 주력할 방침이다.

18일 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017년 7월26일 외청 재출범 이후 국민의 눈높이를 충족하는 신뢰받는 해양경찰로 재도약하겠다는 일념으로 '혁신 100일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조직을 신속히 재정비했다.

특히 야간, 악천후, 대규모 해양사고 발생 시 다수인명 구조를 위한 다목적용 대형헬기 및 해난사고 시 수색 구조 임무수행을 위한 잠수지원함 등 구조인프라를 확충했다.

또 해양경찰 본연의 임무수행이 국민이 원하는 성과로 이어지도록 객관적 지표를 새로 도입하고 국민들이 성과를 직접 평가하는 '국민만족도 조사'등 성과경영방식을 새롭게 도입했다.

특히 해경은 스마트 해양경찰로 도약을 목표로 올해 초 R&D, 발전전력 등을 총괄하기 위한 '미래전략반'을 신설하고, 지난 8월18일 '스마트 해양경찰 추진단'을 벤처형 조직으로 신설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6대 핵심기술 연구 및 장비개발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해경은 최근 어선 노후화, 레저선박 등의 운항증가로 해양사고가 지속 증가함에 따라 신속한 신고 접수, 출동체계 구축 및 구조역량을 강화했다.

실제로 지난 2016년 2839건, 지난 2017년 3160건, 지난해 3434건 등으로 꾸준히 해양사고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해양경찰청 기능 정상화 이후 수사전문 역량 및 국민 중심 기획수사 강화로 인권중심형, 생활밀착형 수사 조직으로 개편하고, 중국어선 조업 척수 및 지능적 불법행위가 지난 2017년 192척에서 지난해 225척으로 증가에 따라 해역별 현장중심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아울러 해양오염사고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해양오염 대응체계를 '유출 후 방제'에서 '사전 유출방지'로 확대하고 재난대응 인프라를 확충했다.

해경은 앞으로 ▲해상 사망사고(연평균 102명→51명 이하)반으로 줄이기 ▲외국어선 조업질서 확립 ▲5대 해양 부조리 근절 ▲국민과함께 깨끗한 바다 만들기 등 4개 브랜드 정책을 중점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조현배 해양경찰청장은 "세월호 때 해경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과 실망감이 컷던 것은 사실"이라면서 "앞으로 국민의 눈높이를 충족하는 신뢰받는 해양경찰로 재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바다의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지키는 일은 해양 경찰의 존재이자 '숙명'"이라면서 "앞으로 '해상 사망사고 반으로 줄이기'라는 정책 목표에 역점을 두고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인천=뉴시스】정일형 기자 =대회퇴 항공순찰 (해양경찰청 제공)

【인천=뉴시스】정일형 기자 =대회퇴 항공순찰 (해양경찰청 제공)

한편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한달여 만인 지난 2014년 5월19일 정부는 사고 책임을 물어 해양경찰청을 해체했다.

해경청은 세월호 참사 이후 조직해체와 함께 국민안전처 산하 기관으로 재편된 뒤 2016년 8월 세종시로 이전했다.

그러나 해경 해체 이후 중국어선의 불법조업과 폭력 저항은 더욱 급심해졌다. 이 때문에 해상안전 외에 해상치안이나 영해수호의 임무까지 담당하는 해경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결국 해양경찰청은 2년반 만인 지난해 11월 24일 세종청사에서 다시 인천 송도청사로 환원하면서 대통령 공약사항인 '해경부활'이 완성됐고, 새롭게 도약하겠다는 해양경찰의 의지를 대내외에 알렸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