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수도권 집값 상승률 1.17%↑…13년 만에 최고치

등록 2021.08.17 14:15: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부동산원,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2008년 6월 이후 최고…올 2월과 같은 수준

서울 상승률도 작년 7월 이후 1년 만에 최고

노원·도봉·강남·서초·송파·강동 등 순으로 올라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2021.08.08. mangusta@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2021.08.0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서울 및 수도권 집값 상승률이 상승폭을 키워나가고 있다. 7월 수도권 집값 상승률은 2008년 6월 이후 13년 만에, 서울은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종합(아파트·단독·연립주택) 매매가격은 0.85% 상승해 6월(0.79%)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수도권(1.04%→1.17%), 서울(0.49%→0.60%), 지방(0.56%→0.57%)에서 두루 오름폭을 키웠다.

특히 수도권 상승률인 1.17%는 2008년 6월(1.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던 지난 2월(1.17%)과 같은 수준이다.

2·4대책 발표 이후 주춤하다가 5월 0.40%로 반등한 서울 상승률은 6월 0.49%, 7월 0.60%로 상승폭이 커졌다. 이는 지난해 7월(0.71%)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부동산원은 "서울은 정비사업 진척 기대감이 있는 지역이나 중저가 위주로, 경기는 서울 접근성이 양호한 안양·군포시 중저가 구축 위주로, 인천은 교통개선 기대감이 있는 연수·서구와 계양구 재건축 위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자랑하는 지역은 노원구(1.32%)였다. 도봉구(1.02%), 강남·서초구(0.75%), 송파·강동구(0.68%) 등이 뒤를 이었다.

강북권에선 노원구가 정비사업 기대감이나 교통 호재가 있는 상계·중계동 위주로, 도봉구(1.02%)는 창동 역세권과 도봉·방학·쌍문동 중저가 단지, 성북구(0.57%)는 길음뉴타운 신축, 중랑구(0.53%)는 면목·상봉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권에선 서초구가 서초·잠원동 재건축과 방배동, 강남구(0.75%)는 학군 수요가 있는 도곡·대치동, 송파(0.68%)·강동구(0.68%)는 정비사업 기대감이 있는 곳이나 외곽 단지 중심으로 올랐다.

전세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 월간 주택종합 전세가는 0.59%로 전월(0.45%)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0.36%→0.49%)은 방학 이사수요와 정비사업 이주수요 등으로 매물부족 현상이 지속됐다. 경기(0.57%→0.95%)는 재개발 이주 수요 영향이 있는 시흥·안양시, 인천(1.00%→0.98%)은 교통여건이 양호하거나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지역 위주로 비싸졌다.

노원구(0.76%)는 중계·상계동 등 구축 위주로, 은평구(0.48%)는 녹번·응암동 신축, 도봉구(0.45%)는 도봉·창·쌍문동 중저가, 강북구(0.44%)는 미아뉴타운 위주로 상승했다.

서초구(0.89%)는 정비사업 이주수요가 있는 방배·서초·잠원동, 송파구(0.74%)는 학군수요가 있는 잠실·신천동과 거여동 등 외곽 지역, 강동구(0.73%)는 명일·둔촌동 역세권, 양천구(0.72%)는 방학 이사수요 있는 목동 신시가지, 강남구(0.50%)는 도곡·수서·대치동 위주로 상승했다.

전국 월세 가격은 0.19%로 전월(0.14%)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