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기도, 올해 취약계층 주거환경개선 목표치 665호 달성

등록 2021.11.07 09:55: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햇살하우징 500호, 중증장애인 주택개조사업 165호

경기도, 올해 취약계층 주거환경개선 목표치 665호 달성


[수원=뉴시스] 이병희 기자 = 경기도와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저소득 가구 대상 '햇살하우징' 500호, '중증장애인 주택개조사업' 165호 등을 준공해
주거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사업 올해 목표치 665호를 달성했다고 7일 밝혔다.

주거취약계층에게 '햇살의 따사로움과 희망을 제시한다'는 의미의 햇살하우징 사업은 중위소득 50% 이하의 저소득 가구를 대상으로 전기료와 난방비 절감을 위한 전등·창호·단열·보일러 개선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는 2013년 81호를 시작으로 매년 사업량을 늘려 올해 500호 등 9년 동안 모두 2638호를 지원했다.

중증장애인 주택개조사업은 중위소득 70% 이하의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안전 손잡이와 경사로 설치 등 집수리를 지원하는 내용이다.

기존 주거복지정책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2017년 전국 최초로 도입된 정책으로, 중증장애인의 장애 상태에 따라 맞춤형 편의시설을 설치한다. 2017년 57호에서 매년 지원 규모를 늘려 5년 동안 모두 559호의 주거환경을 개선했다.

도는 지난해 햇살하우징과 중증장애인·주택개조사업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서 각각 응답자의 84.7%, 87.5%가 사업에 만족한다고 답한 만큼 내년도 사업 규모를 각각 500호, 180호로 정했다.
 
햇살하우징은 지구온난화로 매년 연평균 기온이 올라간 점을 고려해 내년부터 적정 실내온도 유지를 위한 '고효율 냉·난방기 설치 및 교체' 항목을 추가한다.

홍지선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주거취약계층의 주거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중증장애인의 경우 주택 내 이동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주거 위기에 놓인 복지 사각지대를 적극 발굴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