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2.7억대…애플만 나홀로 성장

등록 2023.04.28 11:20:54수정 2023.04.28 13:12:0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Q 스마트폰 출하량 2억6980만대…전년 比 13% 감소

삼성, 출하량 18% 감소한 6030만대…프리미엄폰 선전은 호재

애플, 3% 증가한 5800만대…아태 실적 기반으로 점유율도↑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지난2월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딜라이트샵에서 갤럭시 S23 시리즈가 공개되고 있다. 한 기자가 애플 아이폰과 비교해보고 있다. 2023.02.02. 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지난2월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딜라이트샵에서 갤럭시 S23 시리즈가 공개되고 있다. 한 기자가 애플 아이폰과 비교해보고 있다. 2023.02.0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올해 1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3억대를 밑돌며 지난해보다 성장률이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침체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프리미엄폰 중심의 애플이 주요 브랜드 중 유일하게 성장세를 보였다. 업계에서는 올해 중순~하반기께에는 시장 안정화가 시작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8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2023년 1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2억698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다. 여전히 전년 대비 확연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최근 시장 동향을 고려하면 스마트폰 수요 감소가 완만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출하량 톱5 브랜드는 삼성전자(6030만대), 애플(5800만대), 샤오미(3050만대), 오포(2660만대), 비보(2090만대) 등이다. 이들도 대부분 전년 대비 출하량이 상당폭 줄었다.

삼성전자의 경우 점유율 22%로 1위를 차지했다. 다만 출하량이 전년도 1분기(7370만대) 대비 18%가량 줄었고, 점유율도 2%포인트 하락했다.

출하량이 줄어들긴 했지만 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이 수요 회복의 초기 징후를 드러냈다는 게 카날리스의 분석이다. 1분기 출시한 플래그십 신제품 '갤럭시 S23' 시리즈의 영향이 컸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날 삼성전자가 발표한 1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MX(모바일 경험) 사업부 매출은 31조82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3.1% 증가한 3조9400억원이다. ASP(평균판매가격)가 높은 프리미엄폰 갤럭시 S23 시리즈의 선전 덕택이다.

삼성전자가 상위 모델 제품에서는 좋은 흐름을 타고 있지만 중저가 보급형폰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는 만큼 이들 재고의 처리가 주요 과제로 여겨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반도체 부문 실적의 악화로 전사 수익이 크게 떨어진 만큼 향후 마케팅 지출 등도 줄어들 수 있다.
전 세계 출하량 탑5 스마트폰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 및 전년 대비 출하량 성장률. (사진=카날리스) *재판매 및 DB 금지

전 세계 출하량 탑5 스마트폰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 및 전년 대비 출하량 성장률. (사진=카날리스) *재판매 및 DB 금지

애플은 톱5 브랜드 중 유일하게 전년 대비 3%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같은 성장세를 통해 전년도 18%였던 점유율을 21%로 끌어올리며 1위 삼성전자와의 점유율 격차를 1%포인트로 줄였다.

지난해 말 출시된 아이폰14 시리즈의 영향은 다소 사그라 들었으나,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견조한 실적을 내며 기대 이상의 성적을 얻게 됐다. 특히 애플은 아·태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 등에 지속적인 투자를 단행하며 제3국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중산층 소비자들을 유인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분석됐다.

보급형폰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중국 제조사들의 경우 톱5에 이름을 올린 3개 브랜드 모두 전년 대비 출하량이 8~22% 가량 줄었다.

올해에도 여전히 스마트폰 시장이 얼어붙어있지만 카날리스는 올해 중반께부터 수요가 다소 회복되고 출하량이 안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통해 하반기에는 시장이 반등에도 나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카날리스는 "하반기에는 스마트폰 시장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공급업체들은 수익성 확대, 재고 정리 등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신중하게 시장에 접근하는 양상이다. 장기 계획과 충분한 자본이 있는 업체는 다소 까다로운 시장 조건이 되려 성장을 위한 좋은 환경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