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NGO들, 美 상원 외교위에 서한 보내 북한인권법 재승인법 조속 심의 촉구

등록 2017.09.27 08:09:5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조선중앙TV가 22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회 위원장이 직접 성명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9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방어 차원에서 "북한을 완전히 파괴할 수도 있다"고 발언하에 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21일 국무위원장 명의의 성명을 통해 "불로 다스릴 것"이라고 응수했다.  김 위원장은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이 "역대 그 어느 미국 대통령에게서도 들어볼 수 없었던 전대미문의 미치광이 나발"이라며 "선거 당시 트럼프를 두고 '정치문외한', '정치이단아'라고 조롱하던 말을 상기하게 된다"고 깎아내렸다. 2017.09.22. (사진=조선중앙TV 캡처)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조선중앙TV가 22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회 위원장이 직접 성명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9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방어 차원에서 "북한을 완전히 파괴할 수도 있다"고 발언하에 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21일 국무위원장 명의의 성명을 통해 "불로 다스릴 것"이라고 응수했다.   김 위원장은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이 "역대 그 어느 미국 대통령에게서도 들어볼 수 없었던 전대미문의 미치광이 나발"이라며 "선거 당시 트럼프를 두고 '정치문외한', '정치이단아'라고 조롱하던 말을 상기하게 된다"고 깎아내렸다. 2017.09.22. (사진=조선중앙TV 캡처)   [email protected]

  美 하원에선 25일 북한인권법 재승인법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
  북한자유연합도 해당 법안 조속 처리 촉구하는 서명 진행중

 【서울=뉴시스】 이현미 기자 = 전세계 비정부기구(NGO)들이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에 서한을 보내 올해 말 만료시한이 다가오고 있는 북한인권법 재승인법을 빠른 시일내에 심의할 것을 촉구했다고 미국의 소리(VOA)가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서한에는 로버트 킹 전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도 동참했다고 VOA는 전했다.

 8개 국제 NGO들과 30명의 인권운동가, 한반도 전문가, 종교 지도자들은 소속 밥 코커 상원 외교위원장과 민주당 간사인 벤 카딘 상원의원에게 북한인권법 재승인법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서한 작성을 주도한 ‘인터네셔널 크리스천 컨선’의 내서니엘 랜스 국장은 한 달간 서명자들을 모아 상원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랜스 국장은 "지난 25일 하원에서 북한인권법 재승인법이 초당적인 지지를 받아 통과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미 하원에서는 찬성 415, 반대 0의 압도적인 지지로 통과됐다.

 이들은 서한에서 김정은의 억압 아래 살고 있는 수많은 북한 주민들을 외면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치범 수용소에 있는 10만명의 수감자들은 성폭행, 유아살인, 고문, 기아, 강제 노동, 처형 등을 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김정은의 도발 못지 않게 북한 주민들의 고통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고, 북한인권법 재승인법도 그래서 조속히 처리돼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북한인권법 재승인법은 북한을 탈출하는 이들에 대한 지원, 북한에 남아 있는 이들에 대한 미국인들의 연대감을 전한다고 설명했다.

 이 서한에는 21세기 윌버포스 이니셔티브, 미국 인본주의 협회, 세계기독연대 영국지부, 세계 개입 협회, 국제 종교 자유 협회, 패트모스 협회, 미국러시아정교회, 통합 마케도니아 디아스포라 등이 서한에 서명했다.

 개인 자격으로는 킹 전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앤드류 나치오스 전 미 국제개발처 USAID 처장, 제프 킹 인터네셔널 크리스천 컨선 대표, 수전 숄티 북한자유연합 대표, 그레그 스칼라튜 북한인권위원회 사무총장 등이 참여했다. 니컬러스 에버스타트, 마커스 놀랜드, 로버타 코헨 등 워싱턴에서 활동하는 한반도 전문가들도 동참했다.

 한편 북한자유연합도 상원에서 북한인권법 재승인법 통과를 촉구하는 청원서에 서명을 모으고 있다.

 이 단체의 수전 숄티 대표는 미국 50개 주에서 서명을 받은 뒤 상원의원 사무실을 직접 찾아가 청원서를 전달할 계획이다.또 개별 상원의원들에게 자신의 지역구 유권자들의 실명을 제시하며, 그들이 이 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자유연합은 과거에도 청원서를 상원의원들에게 전달하며 북한 관련 법안 지지를 호소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